[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충청북도(도지사 이시종)는 에너지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태양광발전 유지관리보수(Operation&Maintenance, O&M) 산업을 육성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50억원을 확보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태양광 디지털 O&M 기반 지역형 운영관리체계 구축사업’은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관리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산업부가 6대 핵심 유망분야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사업이다.
충북도는 국비 50억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72억원을 투자해 충북혁신도시 태양광기술센터에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센터 장비확충 및 기구축 장비의 기능 고도화를 통해 지역형 운영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주요 사업내용으로는 △(통합정보시스템구축)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태양광설비 원격감시 안전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장비확충) 인버터 성능 및 안전평가 시스템, 노후 모듈 유지보수용 연납장치, 접속반 내환경 신뢰성 시험기 등 13종 구축 △(기술지원) 태양광설비 성능진단, 인공지능(AI) 운영 모니터링 기술, 고장예측, 재사용 모듈화 기술 △(인력양성) 디지털 유지관리보수(O&M)에 대한 이론 및 실습 교육, 플랫폼 장비활용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O&M 시장에 선도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충청북도와 진천군이 총괄하고 충북테크노파크를 주관기관으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참여한다.
충북도 나동희 에너지과장은 “현재 태양광산업은 생산-보급 확대에서 유지관리보수(O&M) 산업이 강화되는 시점으로 우리 도가 디지털 유지관리보수(O&M) 기반 지역형 운영관리체계를 선도적으로 구축해 관련 기업육성 및 전문인력을 양성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충북도 이용일 산업육성과장, “K-배터리 중심지 충북... R&D 집적화가 경쟁력 키울 것”
- 수원시‧충주시, 탄소중립 그린도시 대상지 선정
- 충북도, 민간 태양광발전소 설치 융자금 이자 차액 지원
- 10년 농사 결실 맺는 충북, 태양빛으로 지역발전 도모
- 본격화되는 햇빛두레발전소, 충북지역 최초 주민 주도 태양광사업 시작된다
- ‘도민에게 푸른 하늘을’ 충북도, 미세먼지 저감 위해 예산 집중 투입
- 충북도, 2022년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설명회 개최… 592억원 투입
- 충북 산단에 320MW 규모 지붕형태양광 들어선다
- 충북도 김형년 에너지과장, “‘태양의 땅, 충북’ 미래 에너지신산업 육성 총력”
- 충북도, ‘이차전지산업 육성 전략’ 수립… K-배터리 이끌까
- 충청북도 에너지과 나동희 과장, “문제의 답은 늘 현장에 있다”
- 충북도, 친환경모빌리티 ‘순환경제’ 거점지역으로 거듭난다
- [산단 태양광 정책 모델-충북도] 2026년까지 128개 산단에 태양광발전 320MW 시설 보급
- 국내 최초 지역주민 제안형 ‘제천 청풍호 제3호 수상태양광’ 준공
- 진천군, ‘2050 탄소중립’ 도시 조성 가속화… 환경·에너지사업 본격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