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서울시가 2023년 ‘서울형 생활임금’을 시간당 1만1,157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올해 적용된 생활임금 1만766원보다 3.6%(391원) 상승한 것으로 정부가 지난 8월 고시한 2023년 최저임금인 시간당 9,620원보다 1,537원 많다.
이에 따라 서울형 생활임금 적용대상자는 법정 노동시간인 209시간을 근무하면 통상임금 기준 한 달에 233만 1,813원을 받게 된다.
![서울시가 2023년 ‘서울형 생활임금’을 시간당 1만1,157원으로 확정했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9/47152_49293_157.jpg)
‘서울형 생활임금’은 노동자와 그 가족이 주거·교육·문화생활 등을 보장받으며 빈곤 수준 이상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임금 수준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지난 2015년 광역지자체 최초로 생활임금을 도입했다.
‘서울형 생활임금’은 맞벌이 부부 2인과 자녀 1인으로 구성된 3인 가구의 소비수준, 주거비,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책정했다.
이번에 확정된 ‘서울형 생활임금’은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적용대상은 △서울시 및 시 투자출연기관 소속 직접고용 노동자 △서울시 투자기관 자회사 소속 노동자 △민간위탁노동자(시비 100% 지원) △뉴딜일자리 참여자 등 총 1만3,000여명이다.
서울시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경제상황과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노동자들의 부담이 늘고 있어 내년 생활임금은 이전 해(2021년 1.7%, 2022년 0.6%)보다 인상률을 다소 높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공공과 민간부문의 형평성 및 시 재정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인상폭을 최종 확정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한영희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서울의 노동자들이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고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서울형 생활임금 운영을 통해 노동자들의 권익과 생활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시, 재생자전거 팝업스토어 연다…9월 15 롯데마트 송파점 재생자전거 판매 시작
- 서울 반려견 순찰대, 우리동네 순찰을 ‘명’ 받았습니다 “멍 !”
- 서울시, 건축물 전력자립률 향상 위한 노력 이어간다… 도심형 신재생E 보급 총력
- 서울시, ‘실시간 도시데이터’ 개발…혼잡도·도로상황 한눈에
- 서울투자청, 답변률 99% ‘AI 챗봇’이 해외 투자자에 24시간 영문 상담
- 서울시, 올 하반기 전기택시 1,500대 추가 보급… ‘출고·등록순’ 선정
- 서울시, 녹색기업 판로개척 집중 지원…온라인 기획전부터 투자상담회까지
- 서울시, 최근 5년간 화재 분석 결과 10월 부주의로 인한 화재 증가…세심한 주의 필요
- 서울시, 친환경보일러 지원대상 확대…침수피해 취약계층 무상 지원
- 서울시, 폐현수막 재활용 건축자재 활용해 남산도서관에 친환경 독서공간 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