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화 의원, 한전 5개 발전자회사 운영 태양광발전소 분석
[인더스트리뉴스 김태환 기자] 미세먼지가 태양광 발전량을 크게 떨어뜨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국회 김삼화 의원(바른미래당)이 한국전력 5개 발전자회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세먼지와 태양광 발전량에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가 태양광 발전량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3/29700_22385_579.png)
이번 분석은 6일 연속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지난 3월 1일부터 6일까지 6일간의 발전량과 직전 6일의 발전량을 비교한 것으로, 미세먼지가 많았던 날이 평균 19% 정도 줄었다.
분석 대상은 한전 5개 발전 자회사가 운영하는 태양광 발전소 12곳이다. 이 중 강원 동해와 경남 고성, 경남 하동, 전남 여수 지역 등은 미세먼지 농도가 그리 높지 않은 지역이어서 분석에서 제외됐다.
전남 영암, 경기 시흥, 충남 연기, 충남 당진, 경북 예천, 인천, 충남 보령 등 7곳을 대상으로 발전량을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가 많은 날이 그렇지 않은 날보다 평균 19% 정도 적었다.
서부발전이 운영 중인 전남 영암 F1 발전소는 25.4%의 발전량이 줄었으며 남부발전 신인천전망대 발전소는 20.8%, 동서발전 당진후문주차장 태양광은 17.6% 등이 감소했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의원은 “비가 오거나 구름이 많이 낀 날 태양광 발전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미세먼지가 태양광 발전량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전력당국은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 날씨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배출량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멈추지 않는 최악의 미세먼지, 대안 및 대처 방법은?
- 환경부, 미세먼지 원격 감시에 분광학적 측정기법 적용
- 환경부, 봄철 미세먼지 대비 다량배출현장 특별점검
- 미세먼지 기승에 석탄발전 4기 가동중지··· 친환경 에너지전환의 현주소
- 농식품부,‘농업·농촌 미세먼지 대응 특별팀(TF)’발족
- [포토뉴스] 한전KPS, 열화상 카메라 탑재형 드론 등 선보여
- 한국동서발전, 올해 초미세먼지 2015년 대비 26% 저감 추진
- 초미세먼지, 숨막힌다…상위 100대 도시 중 ‘한국 44곳’
- [2019 국감] ‘오락가락’ 산업부, 태양광 폐모듈 재처리 정책 ‘질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