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한국철도(코레일)가 지하역사 고강도 공기질 관리대책 본격화에 들어간다.

한국철도는 지하역사 내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공기청정기 설치와 설비 개량 등에 69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및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함께 내년 6월까지 전 지하역사 61곳에 미세먼지 상시측정기와 공기청정기 366대를 설치한다.
또한 지하터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이르면 내년부터 고압살수차와 분진흡입차를 도입한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공조설비 개량은 2021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정정래 한국철도 안전경영본부장은 “철도역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인 만큼 공기질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철도는 지난 3월 미세먼지 저감‧관리 종합대책을 세우고 역사 공조기 필터 교체, 터널 내 특수 청소장비 도입, 미세먼지 위기단계별 대책반 운영, 객실 환기덕트 청소주기 단축 등의 중점과제를 선정해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 2월부터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역‧열차 물청소, 건설현장 공사 시간 조정, 공조설비 점검 강화 등의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조치 대응 매뉴얼’을 마련해 철도역사 공기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 서울시, 온실가스 감축 위한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 세미나 개최
- 삼천리, ‘Clean Day’ 전개로 깨끗한 자연환경 조성에 앞장
- 브이원텍, 고정밀 ‘미세먼지 측정기’로 광주시 국책과제 선정
- 유럽연합, 기후변화 대응 위해 유럽연합 숲 조성
- 기아차, 친환경 기업으로 인정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 수상
- 전북도, 고농도 미세먼지 대비 위해 환경부와 모의훈련 실시
- 한국에너지공단·한국전력공사, ‘재생에너지 사용인정제도’ 시범사업 실시계획 공고
- 환경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활성화 위한 지역별 교육 실시
- 서울시, 12월부터 배출가스 5등급 차량 녹색교통지역 운행제한
- 수송용 에너지보급 전환 제도 ‘RFS’, 한계와 개선점은?
- 환경부, 대기관리권역법 전국 확대 입법 예고… 권역별 맞춤형 미세먼지 관리 강화
- ‘시민’만 불편했던 철도노조 파업, 명분도 실리도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