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퀀텀닷(Quantum Dot)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며 ‘자발광 QLED(Quantum Dot LED, 양자점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삼성전자는 11월 27일(현지시간) 퀀텀닷 소재의 구조를 개선해 자발광 QLED 소자의 발광 효율 21.4%를 달성하고 소자 구동 시간을 업계 최고 수준인 100만 시간(휘도 100니트 반감수명 기준)으로 구현한 최신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장은주 펠로우(왼쪽),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원유호 전문연구원(오른쪽) [사진=삼성전자]](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11/35594_30420_414.jpg)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장은주 펠로우(교신저자)는 “삼성의 독자적인 핵심 소재 기술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앞으로 새로운 구조의 퀀텀닷을 활용한 친환경 디스플레이의 개발 범위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자발광 QLED 소자의 발광 효율과 사용시간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빛 손실 개선을 위해 퀀텀닷 입자의 발광 부분인 코어(Core)의 표면 산화를 억제하고, 코어 주위를 둘러싼 쉘(Shell)을 결함 없이 대칭 구조로 균일하게 성장시킴과 동시에 두께를 증가시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했다.
또한, 쉘 표면에 있는 리간드(Ligand)를 더 짧게 만들어 전류 주입 속도를 개선함으로써 QLED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늘릴 수 있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원유호 전문연구원(제1저자)은 “이번 연구는 퀀텀닷 소재가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이해해 쉘 두께에 상관없이 고효율의 퀀텀닷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소자에서 퀀텀닷 사이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전하 균형을 조절해 QLED의 효율과 수명 개선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5년 업계 최초로 카드뮴 없는(Cd-free) 퀀텀닷 TV 제품을 출시했으며, 새로운 구조의 퀀텀닷 자발광 QLED 소재와 소자 구조 특허 170여건을 확보하는 등 차세대 친환경 디스플레이 혁신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
- 삼성전자, ‘탄소·물 발자국’ 반도체 업계 최초 친환경 우수성 인증
- 삼성전자, 제8기 대학생 봉사단 모집
- 한국 AI 분야 인재 및 연구생태계 부족 '심각한 수준'
- 삼성전자, 왓챠와 차세대 영상 확산 나선다
- 혁신 선도 기업 ‘우뚝’ 삼성전자, 역대 최다 ‘CES 혁신상’ 수상
- 삼성전자, 열화상 카메라와 재난현장 통신장비 전국 소방서에 기부
- 삼성전자, 글로벌 크루즈에 초대형 스마트 LED 사이니지 공급
- 삼성전자, 서울 지하철에 스마트한 안내도 설치
- 삼성전자, 캐나다 이동통신 '비디오트론'에 4G LTE-A•5G 통신장비 공급
- 삼성전자, 전세계 세번째 익스피리언스 스토어 스페인 발렌시아에 마련
- 삼성전자서비스, 겨울철 맞이 플러스 원 케어 서비스로 고객 부담 줄인다
- 삼성전자 QLED, 글로벌 인증기관으로부터 화재 방지 설계 인정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