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기창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건설기계가 손잡고 건설기계 분야에서의 수소 에너지 활용을 위해 앞장선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건설기계는 2월 18일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현대건설기계 연구소에서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 연료전지사업실장 박순찬 상무, 현대모비스 연료전지사업실장 금영범 상무, 현대건설기계 산업차량 R&D 부문장 황종현 상무, 건설장비 R&D 부문장 김승한 상무 등 행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소연료전지 건설기계 공동 개발 협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협약을 시작으로 수소연료전지 건설기계 개발에 착수해 연내 수소연료전지 지게차와 수소연료전지 굴삭기의 시제품을 제작할 계획이다. 이후 실증 시험을 거쳐 오는 2023년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적용한 지게차와 굴삭기의 상용 제품을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번 MOU는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갖춘 현대차와 건설장비 및 산업 차량 부문에서 두각을 드러낸 현대건설기계가 손을 잡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건설기계 분야에서 수소에너지 활용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건설기계가 건설기계 부문 수소전지차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사진=현대자동차]](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2/36956_32219_484.jpg)
특히 현대건설기계는 세계 140개 국가 540여 개의 딜러망과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해외법인을 갖췄다.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에서 국내 업체의 수소에너지 분야 선전이 기대된다.
현대차그룹은 건설기계에 적용할 연료전지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한다. 또한 개발한 수소연료전지 지게차와 굴삭기에 대한 지속적인 성능시험과 품질 평가, 모니터링 등을 담당한다. 현대건설기계는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적용한 지게차 및 굴착기의 설계와 제작을 맡는다. 더불어 개발된 건설기계에 대한 종합 평가를 진행한다.
업무협약을 통해 탄생하게 될 수소연료전지 지게차와 굴삭기는 세계 최초의 수소에너지 기반 중대형 건설기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과 현대건설기계는 건설기계 분야의 수소에너지 적용을 가속화하는 하는 것은 물론, 핵심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함으로써 향후 상용화를 위한 인증과 법규 제정의 글로벌 표준화 과정에 우위를 선점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자동차박순찬 상무는 “지속 가능한 미래 수소 사회 구축을 위해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하는 것은 이젠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번 3사 간의 협력은 수소연료전지 기술의 건설기계 분야 적용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척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국내에서 연 50만 대 규모 수소전기차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글로벌 수소전기차 리더십을 지속해서 확보하겠다는 중장기 수소 및 수소전기차 로드맵 ‘FCEV 비전 2030’을 공개한 바 있으며, 이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연구·개발(R&D) 및 설비 확대 등에 총 누적으로 7조 6천억 원을 투자하고, 5만 1천 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스웨덴의 연료전지 분리판 코팅기술 전문 업체 ‘임팩트 코팅스’를 비롯해 이스라엘의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업체 ‘H2 프로’, 스위스 수소 저장·압축 기술업체인 ‘GRZ 테크놀로지스’ 등 세계 유수 업체들과 전략 투자 및 공동 기술 개발 등 다양한 협력에 나서고 있으며, 운송 분야를 넘어 전력 생산과 저장 등의 발전 분야에서도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 에너지부와 수소 및 수소연료전지 기술혁신과 글로벌 저변 확대를 위한 협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더불어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 운영을 통해 확보한 실증 분석 데이터를 학계, 정부 기관, 기업 등과 공유하고 수소 에너지의 경쟁력을 다양한 산업과 일반 대중에게 확산해 수소와 수소연료전지 기술 혁신 및 글로벌 활용도를 높일 예정이다.
- 현대차,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본사업’ 사업자 선정
-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 미 주지사들과 수소·미래 모빌리티 분야 의견 나눠
- ‘무역 분쟁’ 겨우 넘긴 국내 제조업, 코로나바이러스에 다시 ‘울상’
- 현대차, 1월 30만 4,076대 판매… 하이브리드 국내 판매량 늘어
- [산업용 로봇 특집]⑥- 현대로보틱스, 5G와 결합된 원격 로봇으로 산업용 로봇 활성화 선도한다
- 기아차, 4세대 쏘렌토 사전계약 개시…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모델 추가돼
- 현대·기아차, 세계 최초 ‘ICT 커넥티드 변속 시스템’ 개발
- 현대차 넥쏘✕방탄소년단, 뉴욕 타임스퀘어의 밤 밝혔다
- 현대자동차그룹, 코로나19 예방 및 복구에 50억 지원
- 일렉트라, 합리적 가격의 전기 슈퍼카 출시 예정
- 현대차그룹 17개 차종, 미국 IIHS로부터 글로벌 안전성 인정받아
- 현대모비스 경기 평택에 전기차 핵심부품 공장 설립한다
- 수소연료전지, 유럽 진출로 수소사회 실현에 앞장
- 경우시스테크, 지게차 후방감지 솔루션 ‘아이뷰플러스’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