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관모 기자] 양이원영 국회의원(비례대표, 더불어민주당)이 탄소감축인지 예산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국가재정법 및 국가회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7월 1일 대표발의했다.
![한국의 탄소감축을 위한 정부 예산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양이원영 의원이 탄소감축인지 예산제도 도입을 위한 개정법안을 발의했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7/38775_34833_1947.jpg)
탄소감축인지 예산제도는 현재 진행중인 ‘성인지예산제도’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정부의 예산편성과 결산 시 탄소감축인지예산서와 결산서를 작성하도록 해 국가재정이 탄소감축에 더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한 제도를 말한다. 양 의원은 이 제도를 통해 정부 예산이 탄소감축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부 예산편성과 집행에 반영하도록 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양 의원은 “한국은 탄소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연간 약 7억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세계 7위 배출국이며, 철강 및 석유화학 등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구조와 수출 중심 경제체제여서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6월 226개 기초지방자치단체가 ‘기후위기 비상선언’을 통해 정부와 국회에게 2050년 탄소중립 약속을 요구했지만 정부부처는 그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기에 이번 법안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양 의원은 우선 국가재정법 개정안에는 예산의 편성원칙에 탄소감축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부의 예산 편성에 반영하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했다. 또한 예산이 탄소감축에 미칠 영향을 미리 분석한 ‘탄소감축인지예산서’와 탄소감축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집행됐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탄소감축인지결산서’를 작성하도록 규정했다. 이밖에도 정부가 ‘탄소감축인지 기금운영계획서와 탄소감축인지기금결산서를 작성하도록 하는 내용도 추가했다.
국가회계법 개정안에도 결산보고서의 부속서류에 탄소감축인지결산서와 탄소감축인지기금결산서 작성을 규정하도록 신설했다.
이번 개정안에는 양 의원을 비롯해 43명의 의원들이 공동발의에 명단을 올렸다. 양 의원은 “탄소감축인지예산제도는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최소한의 의무”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7위로 기후악당국가의 불명예를 뒤집어쓴 우리에게 더 많은 행동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 송갑석 의원, 공정경제 및 지역경제 활성화 7법 대표발의
- 재생에너지 LCOE 하락… 화석연료보다 가격경쟁 우위 점하는 시대 온다
- 환경부,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 국민 의견 입체적 반영할 것
- 포스트 코로나, 정답은 '환경'… ‘세계 탄소제로‧미세먼지 엑스포’ 9월 2일 개최
- 21대 국회, ‘기후위기 비상 대응 촉구 결의안’ 제출
- 김성환 의원, ‘기후위기 비상선언 결의안’ 대표발의
- SH공사, 미세먼지 '스마트 이끼타워'로 해결한다
- 강은미 의원, ‘탈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기후위기 결의안’ 발의
- 김포시, 미세먼지 특화기능 더한 ‘스마트 정류소’ 시범 서비스 개시
- 김성환·우원식·민형배·이소영 의원, “공사 및 국책은행들, 석탄화력발전 투자하지 마라”
- 서울시, 도시 자체 배출 이산화탄소량 국내 최초 산정… 용산-관악산 차이 20~27ppm
- 유동수 의원, 의료기관 내 전자기기 사용을 규정하는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 태양광 확산, 전력 피크시간에 변화… 낮시간 전력수급으로 폭염대응 역할 증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