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충청남도(도지사 양승조)와 15개 시군 등 19개 협력기관이 도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해 ‘스마트시티 광역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기로 손을 맞잡았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지난 7월 13일 서산시 베니키아 호텔에서 15개 시장·군수, 충남경찰청장, 국토정보공사 본부장 등 19개 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스마트시티 광역 통합플랫폼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스마트시티 광역 통합플랫폼은 방범·방재, 교통, 환경, 시설물 관리 등 각종 정보시스템을 연계해 신속한 응급상황 대처 및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통합플랫폼이 구축되면, 기초자치단체 폐쇄회로(CCTV) 통합관리센터 영상을 경찰, 소방서 등 유관 기관에 제공해 범죄와 재난으로부터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해진다.
충남도와 15개 시군 등 19개 협약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각 기관의 안보, 재난, 범죄, 화재. 교통, 사고 등 각종 상황 정보를 상호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급박한 생명, 신체, 재산의 이익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재난·재해, 구급상황 등 국가 안전보장을 위한 상황 발생 시 각 기관의 CCTV 영상 정보 등을 공유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도는 사업계획을 수립, 운영 및 관리를 총괄하며, 15개 시군은 안보·재난·범재·화재·교통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공공 CCTV 영상을 제공한다. 충남지방경찰청과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역시 긴급 상황 정보 및 교통 CCTV 영상, 도로상황정보를 공유한다.
충남도를 비롯한 19개 협력기관은 향후 ‘충청남도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단’을 구성, 각종 정보의 통합연계를 통한 도시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할 방침이다.
충남도 박연진 건설교통국장은 “스마트시티 광역 통합플랫폼 구축사업은 각 기관의 정보를 연계·활용하는 사업으로 무엇보다 기관 간 업무협업이 중요하다”며, “업무협약을 통해 유기적 협조체계 구축,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 2월 국토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공모에 선정돼 사업비 6억원을 지원받은 바 있다.
- LG유플러스, 로봇과 함께 생활하는 ‘5G 특화도시’ 만든다
- 라온피플-서울대 공대, 스마트도시 인력 양성 및 학술 연구 MOU 체결
- 제주에너지공사, “스마트에너지시티 허브 구축으로 제주 탄소제로의 중심 될 것”
- 스마트시티 서울 ‘시동’, ‘IoT 도시데이터’로 도시환경 개선나선다
- 정부, 인공지능 육성 및 확산 위해 지원 나선다
- 현대차,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본사업’ 사업자 선정
-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찾은 보쉬, 도내 스타업과 협력방안 모색
- 산업부, 제조업 친환경화 추진 시작한다
- 수원시, 구도심 지역 ‘스마트시티’로 재탄생시킨다
- 충남도,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위한 ‘수요 표본조사’ 진행
- 서부산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사상스마트시티 첫삽뜬다
- ‘서울형 스마트시티’, 에콰도르 진출… 서울시, 과야킬시와 MOU
- 충남도, 화력발전 주변 영아 가정에 공기청정기 전달
- 충남도, 수소차 구매제한 해제 및 충전소 확대로 ‘수소경제 실현’ 추진
- 충남도, ‘주민수익형’ 마을 태양광발전소 사업 추진… 선순환 구조 구축
- 세계가 주목하는 충남도의 ‘탈석탄 정책’… PPCA 정상회의서 정책 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