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관모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오는 8월 5일부터 정부, 지자체 등 공공주도의 해상풍력 개발사업을 지원하는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 2020년 지원대상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오는 8월 5일부터 정부, 지자체 등 공공주도의 해상풍력 개발사업을 지원하는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 2020년 지원대상을 공모한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8/39143_35454_1435.jpg)
산업부는 지난 7월 17일 2030년까지 12GW의 해상풍력 보급과 국내 산업경쟁력 강화를 통해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추진방안을 담은 ‘해상풍력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정부와 지자체 주도의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과 대규모 단지개발을 지원해 환경성과 주민수용성을 사전에 확보한 계획적인 해상풍력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공모에는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지원 △해상풍력 적합입지 등 2개 사업의 지원대상을 선정한다.
먼저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지원 사업은 지자체가 추진 중인 대규모(최대 2GW) 해상풍력단지의 기초설계와 풍황·해양환경 조사, 주민협의 등 개발비용 일부를 국비로 최대 75억(3년간)까지 지원한다.
지원대상 선정시에는 개발이익의 지역공유, 주민수용성 확보 계획을 중점 평가해, 해상풍력이 주민의견을 적극수렴하고 수산업 등 지역경제와 상생하며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두번째로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 사업은 산업부와 해양수산부, 환경부와 전력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관련 전문기관이 공동으로 해양공간 조사를 통해 적합입지를 발굴하는 사업으로 2년간 70억원이 지원된다.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권역(기초지자체단위 관할 해역)은 2년간 풍황, 환경(해양생태, 지질 등), 지역수용성(어업활동 현황, 이해관계 등)을 사전에 면밀하게 검토하여 어업·해양생태계에 영향은 적으면서 경제성이 우수한 입지를 발굴하는 것이 목적이다.
산업부의 관계자는 “그간 해상풍력 개발사업은 개별 민간사업자 중심으로 추진되어 주민수용성 확보가 미흡했고 이로 인해 인허가 등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동 사업을 통해 정부, 지자체가 해상풍력 보급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주민과 상생하고,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하는 해상풍력 개발모델을 발굴·확산하겠다”고 말했다.
- 제3차 추경 재생에너지 분야, 지원 예산에 2,710억원 편성
- 2030년 12GW 보급 목표하는 해상풍력, ‘그린뉴딜’의 핵심으로 부상
- 산업부,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제고 위한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법’ 개정 추진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 전략 그린뉴딜… 에너지전환 가속화
- 지역 중심의 에너지전환 추진… 키워드는 ‘재생에너지·전기차·융복합’
- 환경부, 전기차 보급 확대로 ‘그린뉴딜’ 박차 가한다
- 26.9% 확대한 재생에너지 예산, 금융지원 강화된다
- 바람에 기대는 일본, 해상풍력 중심으로 풍력발전 성장 견인
- 삼성중공업, DNV GL 선급과 대형 해상풍력 부유체 개발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