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2차 사업지 공모가 무려 22개 시군이 참여 의사를 밝히며 뜨거운 관심 속에 마감됐다.
경기도주식회사는 지난 10월 6일부터 30일까지 배달특급 2차 사업지 공모를 벌인 결과, 최종 도내 22개 시군이 신청했다고 11월 2일 밝혔다.
![이재명 도지사는 “경기도 공공배달앱의 핵심은 데이터 경제의 혜택이 경제주체인 도민들에게 돌아가도록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데이터 혜택이 일부 기업에게만 집중되는 불평등 구조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사진=경기도청]](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11/40178_37307_1129.png)
이는 2021년도 당초 모집 목표였던 16개 시군 보다 6개 시군이 더 많은 것으로, 지난달 5일 열린 ‘배달특급 2차 사업 설명회’에서도 당시 20개 시군 관계자들이 참여한 바 있다.
이번에 참여 의사를 밝힌 지자체는 광주, 고양, 광명, 구리, 군포, 김포, 남양주, 동두천, 수원, 시흥, 안양, 안성, 양주, 양평, 여주, 연천, 용인, 의왕, 의정부, 이천, 포천, 하남 총 22개 시군이다.
이들 시군들은 배달특급이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를 위한 상생플랫폼이라는데 공감하고, 지역 상생경제 생태계 구축에 크게 일조할 것으로 판단해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혔다.
최종 2차 사업 대상지는 각 시군이 신청서를 통해 밝힌 이용 활성화 전략,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원정책 등을 면밀히 검토·평가해 선정할 방침이다. 선정결과는 11월 중 발표될 예정이다.
이후 선정 시군별로 가맹점 모집, 시험운영 등의 준비절차를 모두 마친 뒤 내년 3월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이르면 2022년 상반기까지 신청 지자체 22개 시군 모두 서비스를 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주식회사 관계자는 “신청서에는 전통시장 육성사업 등 각 지자체 특색에 맞는 지원 시책이 담겼다”며 “많은 관심이 몰린 사업인 만큼 지자체 여건에 맞는 지역 맞춤 서비스를 준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독과점 없는 공정한 배달앱 시장 형성을 위해 경기도주식회사가 민·관 합작으로 개발·운영을 추진하는 ‘배달특급’은 오는 11월 중 공식 서비스 개시를 앞두고 있다.
화성·오산·파주 시범지역 3곳에서 시작해 지역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를 위한 상생 플랫폼을 구축하고, 도내 전 지역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 색채 짙어지는 이재명의 공공배달앱, 경기도 디지털 뉴딜 핵심 축으로
- 끊이지 않는 배달앱 음식점 식품위생법 위반… 3년간 1500여건 적발
- 오산지역 소상공인, 경기도 ‘공공배달앱’에 줄줄이 참여 행진
- ‘배민장부’의 경쟁사 로그인 정보 수집 기능 놓고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갑론을박
- 배달의민족, ‘배민장부’ 기능 확대...음식점 매출 정보 ‘올인원’ 서비스
- 경기스타트업플랫폼, ‘제조공유서비스’로 스타트업-제조기업 가교 역할
- 이재명 지사 “스마트공장,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마중물 역할 ‘톡톡’”
- 경기도, 중소기업 육성자금 2조 확정‥소상공인 제로금리 대출도 시행
- 노원노동복지센터, 배달노동자 근로 개선 위해 간담회 열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