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제17차 ASEAN+3 에너지장관회의 및 제14차 EAS 에너지장관회의에 영상으로 참석해 ‘지속가능한 역내 에너지 미래’에 대해 회원국들과 의견을 교환했다.
여기서 ASEAN+3은 브루나이·캄보디아·인니·라오스·말련·미얀마·필리핀·태국·베트남·싱가폴 등 ASEAN과 한·중·일 3국이 합쳐진 조합을 말하며, EAS(East Asia Summit)은 ASEAN+3에 뉴질랜드·미국·러시아·인도·호주 등이 합쳐진 조합이다.
ASEAN+3 에너지장관회의
ASEAN+3 에너지장관회의에서 주영준 실장은 한국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지난달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갈 것임을 선언했고, 이를 위해 화석연료기반 발전축소와 CCUS 상용화, 신재생전원 및 수소의 역할 확대, 에너지 효율향상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이어 한국정부가 탄소중립 추진을 통해 축적할 다양한 정책수립 및 이행경험을 추후 ASEAN+3 회원국들과 공유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한국과 ASEAN이 함께 추진해 온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에너지 안전관리사업이 ASEAN 역내 저탄소경제로의 이행 및 에너지 안전향상에 기여해 왔음을 언급하며, 내년에도 정책컨설팅·워크숍·역량강화연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협력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EAS 에너지장관회의
연이어 열린 EAS 에너지장관회의에서 주 실장은 한국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 전략으로 그린뉴딜을 추진 중에 있임을 소개하며, EAS 차원에서 집중 논의되고 있는 신재생·수소·에너지효율 분야가 한국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분야와 일치하므로 이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또한 한국이 2018년부터 브루나이와 함께 RAPG의 공동의장국을 수임하면서 역내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노력해온 점을 언급하면서, 향후에도 한국정부는 에너지 수요관리·스마트전력망 구축·재생에너지-ESS 연계모델 개발 등 EAS 회원국들이 우리와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를 적극 발굴해 지원을 계속해 나갈 예정임을 밝혔다.
- 성윤모 장관, G20 특별 에너지장관회의 참석… 영상회의로 개최
- 기후변화 대응 위한 에너지전환 국제적 협력에도 ‘혁신’ 필요
- 태양광과 ESS 활용한 ‘Pico-Grid Village 사업 확대’ 추진
- 국가간 협력 통해 신재생에너지 및 원전 해체 협력
- 문 대통령, 탄소중립 사회로의 대전환 시동… “에너지 구조 전환이 출발점”
- 산업부, 탄소중립 대응 위한 ‘태양광 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 구축 시동
- 문 대통령, ‘2050 탄소중립 비전’ 선언… “산업·경제·사회 모든 영역서 강력 추진”
- 성윤모 장관, 그린뉴딜 중심축 ‘영광’ 재생에너지 현장 방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