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전북도와 전남도 광주시가 더불어민주당과 함께 호남 초광역권 에너지경제공동체를 구성하는 ‘호남 RE300’ 프로젝트에 발 벗고 나섰다. 호남 RE300은 그린뉴딜과 지역균형뉴딜을 결합한 호남형 ‘한국판 뉴딜’ 전략이자 호남권 최초의 초대형 경제공동체 프로젝트다.
전북도는 지난 5월 31일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호남 RE300 프로젝트 사전용역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호남 RE300의 구체적인 실행·투자계획과 기대효과 등을 조사·분석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과 3개 시·도당 및 3개 광역단체가 공동으로 기획·주관했다.
![전북도와 전남도 광주시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발표된 용역보고에 따라 ‘호남 RE300’을 2034년 RE100 달성, 2050년 RE300 달성 등 총 2단계로 나눠 진행하기로 했다. [사진=전북도]](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6/42550_41392_580.jpg)
이날 보고회에는 산업부 문승욱 장관, 3개 광역지자체장,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 윤호중 원내대표, 박완주 정책위의장, 홍익표 민주연구원장 등 당 지도부와 호남지역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참석했다.
2034년 RE100 2050년 RE300 달성 목표
전북도와 전남도, 광주시,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발표된 용역보고에 따라 ‘호남 RE300’을 2034년 RE100 달성, 2050년 RE300 달성 등 총 2단계로 나눠 진행하기로 했다.
‘RE100’은 2034년까지 초광역 에너지망 기반을 구축하는 계획이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내 호남지역 송·변전설비 계획 우선 실행 △직·교류 혼합 배전망 확대를 통한 소규모 자원 수용능력 제고 △호남지역 내 단위 배전망 자립 및 상호 연계 기반 마련 등이 추진된다. ‘RE300’은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실현에 맞춰 RE100으로 기반을 구축한 초광역 에너지망을 완성하는 단계다. △대규모 수소연료 공급망 구축을 통한 기존 가스 공급망 대체 △전기·열·가스 간 에너지 전환(섹터 커플링) 인프라 구축 및 확대 △호남지역 내 단위 배전망 및 열 공급망 상호 연계 완성 등이 핵심이다.
호남 RE100 투자계획 규모는 2034년 기준 재생에너지 전원 확대에 약 142조 6,417억원, 초광역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에 60조 6,941억원 등 국비 및 민간자본 포함 총 203조 3,358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생산유발 효과 387조 6,862억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132조 9,966억원, 취업유발 효과 150만 6,439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특히 이번 보고회에서는 호남 RE300 성공을 위한 핵심 키워드로 ‘초광역 에너지망’과 ‘유연성 자원’의 중요성이 떠올랐다. 현재와 같이 공급망과 저장 수단이 부족한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에만 치중할 경우, 제주의 경우처럼 전력 생산을 과도하게 제한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호남권은 권역별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1위로 전국의 32%를 차지하고 있지만, 2034년 RE100 달성 시 46%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비해 에너지 공급망 구축 계획은 미비한 실정이다. 독일, 영국 등 재생에너지 설비를 구축한 대부분 국가도 전력망 부족으로 인해 생산된 전기를 판매하지 못하는 등 과잉발전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전라북도 송하진 도지사는 “광주, 전남과 함께 새만금과 신안의 바람과 태양을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지역민의 소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찾고,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국판 뉴딜을 성공시켜 서남권 광역경제권의 도약을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 전라북도·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지역사회에 한국판 뉴딜 녹인다
- 전북도, 2023년까지 재생에너지 전문인력 1,200명 양성
- 전라북도, 새만금개발청 등 4개 기관과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양성센터 건립 나서
- 전북도, 그린뉴딜 본격 행보… 해상풍력산업 협의체 출범
- 전북도, 15년 이상 노후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추진
- [엑스포솔라 프리뷰] 탄소중립 산업 대전환을 위한 국내 유일 태양광·ESS·그린뉴딜 전시회
- 세계유일 에너지특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 ‘첫 삽’
- 중기부-환경부, 녹색혁신 선도할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31개 기업 선정
- 부산시, 2050 탄소중립 실현 위한 기후변화대응계획 수립
- 전남도, 해양쓰레기 제로화로 ‘블루 이코노미 비전’ 실현한다
- WAVE3D, AI-5G 드론 융합 기술로 신재생에너지 O&M 시장 공략
- ‘2045 에너지 자립도시’ 꿈꾸는 광주, “신재생에너지 생산, 소비 촉진할 정책 필요”
- 전남도, 풍력발전 강국 덴마크와 손잡고 해상풍력 선도한다
- 새만금 국가산단, 차세대 이차전지 세계적 공급지로 발돋움 한다
- ‘태양광과 함께 지역 활성화’ 신안군, 2/4분기 태양광 이익 배당금 지급
- ‘시민이 만드는 에너지 전환’ 광주시, 에너지 전환마을 거점센터 3호점 개소
- 전남도, 그린수소 메카로 도약한다
- 전남도, 국가 수소산업 중심지로 거듭난다
- 전북에 기업들이 몰린다…일진하이솔루스 등 69개 기업과 투자협약 체결
- 새만금개발공사, “올해 말 육상태양광 1구역 마무리 차질 없이 진행될 것”
- 전북도‧부안군‧유진solar, 부안 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내 수상태양광 부력체 생산 공장 건립
- 전북도, 재생에너지 인력양성 나선다
- ‘신재생 전문인력 양성 앞장!’ 전북도, 태양광발전소 유지보수 인력 교육 나선다
- 전북도의 도시재생뉴딜사업, 국토부 평가 ‘우수’ 지자체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