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는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비전 실현과 해양쓰레기 제로화 목표 달성을 위해 2021년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와 기반시설 확충 등 5개 분야, 23개 사업에 767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지난 6월 10일 밝혔다.
![전남도는 매년 해양쓰레기 발생량을 10% 감축하고 수거처리량을 15% 확대해 2026년에는 해양쓰레기 제로화를 달성할 계획이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6/42685_41633_3525.jpg)
전남도가 2018년 실시한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용역 결과에 따르면 매년 약 2만 6,000t의 해양쓰레기가 발생, 이 가운데 2만 2,000t을 수거처리해, 약 4,000t이 누적됨에 따라 현재 약 8만 7,000t의 쓰레기가 처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매년 발생량을 10% 감축하고 수거처리량을 15% 확대해 2026년에는 해양쓰레기 제로화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사전예방 △수거 효율화 △기반시설 확충 △재활용 확대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해양쓰레기 정화,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 등 나서
전남도는 우선 바람과 조류의 영향으로 도서벽지 등 바닷가에 산재한 해양쓰레기의 신속한 수거를 위해 14개 시군에 해양쓰레기 정화사업비 141억원을 지원한다. 2019년 70명으로 시작한 바다환경지킴이를 올해 231명으로 늘려 주요 해안가에 배치, 해양쓰레기 전담 수거와 투기행위 감시업무를 맡겨 깨끗한 해양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물론 취업 취약계층에 일자리도 제공하고 있다.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사업에도 23억원을 투입한다. 또 양식어장 환경개선, 퇴적물 수거처리, 바닥갈이 등 양식어장 정화사업에 37억원(2,860ha)을 들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친환경 수산물 생산기반을 조성한다.
해조류, 패류 양식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티로폼 부표가 미세플라스틱 발생 원인이 되는 점을 감안, 수산물 안전성과 해양생물 보호를 위해 친환경 부표로 교체 보급하는 사업을 지난해(112억원)보다 대폭 늘어난 278억원을 투입한다.
해양쓰레기의 효율적 수거 처리를 위해 육상선상집하장 69개소를 설치(43억원)하고, 인력과 장비 접근이 곤란해 해양쓰레기 수거가 어려운 50호 미만의 유인도서나 무인도서 3개소에 소형 소각시설을 설치한다. 전남도는 현재 어촌인구 노령화와 수거장비 문제 해결을 위해 3억원을 들여 트랙터 등 수거장비를 보급하고 해양환경 정화선 2척(150억원)을 건조하는 등 수거처리 기반을 확충하고 있다.
전남도는 또 열악한 지자체 재정으로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에 한계가 있어 해양수산부, 국회 등에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사업비의 재원과 지원율을 균특 50%에서 일반국고 70%로 상향 지원하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전남도는 해양쓰레기 수거처리를 관 주도에서 벗어나 어업인, 수협, 민간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도록 거버넌스 구성 운영을 통해 해양환경 보호에 다함께 참여토록 교육과 홍보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전남도 강성운 해운항만과장은 “전남의 비교우위 자산인 바다, 섬, 갯벌 등 블루자원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해양쓰레기 제로화는 필요하다”며, “어업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해양쓰레기는 스스로 처리한다는 의식 전환과 함께 육상에서부터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생활 주변 및 하천변 쓰레기 상시 수거처리,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등에 동참해 달라”고 말했다.
- [칼럼] 글로벌 에너지신산업의 중심, 에너지밸리
- 세계유일 에너지특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 ‘첫 삽’
- 전북도·전남도·광주시·더불어민주당 호남권 최초 에너지경제공동체 프로젝트로 뭉친다
- 한전, 제21대 정승일 사장 취임… 세계 최고 에너지플랫폼 기업 목표
- 전남도, 2050년까지 탄소배출 80% 감축한다
- 전남도, 에너지신산업 상용화 R&D 지원
- [칼럼]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수도, 전남
- 지방소멸위기 고위험군 신안군,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익 공유제’로 인구 늘었다
- 전남도, 풍력발전 강국 덴마크와 손잡고 해상풍력 선도한다
- 전남도, 그린수소 메카로 도약한다
- 전남도, 국가 수소산업 중심지로 거듭난다
- 전남도, 2050 탄소중립 국제사회와 함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