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경기도가 탄소중립 실현, 생산성 향상 등 ‘도민과 함께하는 스마트 행복 축산’ 구현을 위해 ‘2022년 축산시책 추진계획’을 수립, 총 3,0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2월 14일 밝혔다.
이는 최근 식량안보 차원에서 축산분야 자급률 향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FTA에 따른 축산분야 관세 전면 폐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체계 개편 불가피 등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경기도는 올해 탄소중립·생산성 향상 방점 찍은 ‘스마트 행복 축산’ 전략을 추진한다. [사진=경기도]](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2/45200_45769_5911.jpg)
경기도는 축산업 기반 안정 및 신성장 동력 개발(생산), 가축도 행복할 수 있는 선진국형 복지 축산(복지), 깨끗하고 안심되는 도민 친화형 축산(상생) 총 3가지 추진전략을 수립해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3,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 ‘생산성 향상 및 스마트 축산 정착’, ‘친환경 축산 조성’, ‘안전한 사료자원 관리’, ‘신성장 축산 육성’, ‘안전 축산업 체계 구축’ 등의 분야에 주력한다.
우선 생산성 향상과 스마트 축산 정착을 위해 축산 ICT 융복합 확산, 축종별(낙농, 양돈, 가금 등) 경쟁력 강화 등 13개 사업에 920억원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지역별 실정과 농가 수요에 발 빠르게 대처하도록 축종별 경쟁력 강화사업 내에 ‘시군 자율예산’을 별도 편성했다.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발맞춰 지난해 3월부터 도입 추진 중인 ‘경기도형 경축순환 농업 활성화 전략’ 등 도민 정서에 부응하는 지속할 수 있는 친환경 축산환경 조성에도 힘쓴다.
구체적으로 농가 선호도가 높은 밀폐형 축분처리시설, 다용도 축분처리장비 지원 등 13개 사업에 450억원을 투입하고, ‘가축행복 농장지원사업’을 지속 시행해 쾌적한 사육환경 조성과 산업 동물 복지향상에 주력한다.
조사료 생산·자급 기반 조성과 안전한 사료 생산·관리 차원에서 조사료 생산지원, 유휴지 풀사료 생산, 부존자원 사료화, 사료 제조시설 품질·안전 관리 등 8개 사업에도 12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말·양봉산업 등 신성장 동력 육성과 가축개량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승용마 생산·유통 지원, 한우·젖소 유전체 분석, 신품종 젖소 육성 등 15개 사업에도 100억원을 투입, 미래 축산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아울러 폭염·폭설 등 각종 재해에 대비해 가축재해보험 가입 지원, 축산재해 긴급 지원 등 6개 사업에 240억원을 투입, 안전한 축산업 체계 구축에 힘쓸 계획이다.
경기도 김영수 축산정책과장은 “축산업은 농식품 생산액 상위 10대 품목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부가가치가 높고, 식량안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국가 사업”이라며, “이에 경기도는 변화하는 환경에 부응하는 미래 축산업 전략과 핵심사업을 지속 발굴해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안전사고 근절 나선 한전, 현장중심 안전경영 강화
- 경기도, 드론 등 활용한 ‘대기오염물질 배출행위 즉각 대응팀’ 가동
- 경기도, 탄소중립 등 미래전략산업 연구개발에 45억5,000만원 지원
- 경기도, 에너지 분야 융자지원 대상 기업 모집… 최대 2억9,000만원까지
- 경기도민햇빛발전소 1~3호기 경기아트센터에 준공
- 경기도 특사경, 건설현장 등 미세먼지 다량 배출사업장 집중 수사
- 경기도, 경기도자율주행센터 자율주행 공공데이터 180만건 개방
- 경기도, 취약계층 이용시설 300곳에 미세먼지 청정구역 ‘맑은 숨터’ 조성
- 경기도, 5년간 1인 영상 창작자 2,302명 양성
- ‘경기스타트업플랫폼’, 기술분야 스타트업 투자유치 이끌었다
- 지난해 1,437억 최대 매출액 달성한 ‘경기행복샵’, 올해 133개 사 지원
- 경기도와 함께 홈쇼핑 히트상품에 도전하세요!
- 경기도교육청, 탄소중립 시범학교 총 54교 선정
- 경기도, ‘도민참여형 에너지자립 선도사업’에 군포시민햇빛발전소 건립 등 15건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