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충청북도 진천공장 옥상에 약 2.4MW 규모의 태양광발전설비를 추가 설치하며, RE100 달성에 속도를 낸다.
한화큐셀은 2022년 말까지 이 발전소를 완공하고, 여기서 생산하는 전력은 공장 가동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완공 후 한화큐셀은 진천공장 옥상과 주차장에 이미 설치돼 있는 1.5M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포함해 총 3.9MW 규모의 공장 내 태양광발전소를 보유하게 된다.
한화큐셀은 재생에너지발전설비 확대를 통해 제품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고, ESG 경영 강화 및 RE100 달성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향후 진천공장 내 태양광발전소는 연간 약 2,3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으며, 이는 소나무 약 34만 그루의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과 맞먹는다.
글로벌 재생에너지 업계의 리더로 자리잡아온 한화큐셀은 재생에너지 전환에도 앞장서왔다. 한화큐셀은 지난 2021년 2월 국내 재생에너지 기업 중 최초로 RE100 동참을 선언했다.
한화큐셀이 사업부문으로 속해있는 한화솔루션은 지난 2021년 11월에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Zero)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선언했다. 사업장 내 에너지 사용량 저감, 친환경에너지 사용 확대, 친환경 원료사용 활성화 등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점진적으로 저감해 나가고 있다.
한화큐셀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원·부자재 조달부터 제품의 운송, 제조, 폐기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의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통해 탄소배출량을 관리하며, ‘저탄소’ 모듈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프랑스는 지난 2011년부터 태양광 모듈을 만드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가 적은 제품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of Product, CFP) 제도를 2011년에 도입했고, 한화큐셀은 국내 기업 중 최초로 이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한화큐셀은 한국에서 2020년부터 시행된 태양광 모듈 탄소인증제에서도 업계 최초로 1등급 인증을 받았다.
한화큐셀 이구영 대표는 “한화큐셀은 고효율 태양광 제품을 공급하고 친환경 에너지를 제공할 뿐 아니라, 재생에너지 사용에도 적극 동참하는 등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지속가능한 내일을 만들기 위한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한화큐셀, 영농형 태양광 최적화시킨 표준시스템 개발한다
- 한화솔루션, 태양광 호조에 올해 2분기 흑자 달성… 통합법인 출범 이후 분기 사상 최대
- 7년의 기다림 영농형 태양광, 최적 모델 구축하고 비상준비 완료
- 한화큐셀, 독일 에너지플랫폼기업 인수… IT 기반 전력판매사업 고도화
- 한화솔루션, 유럽 친환경에너지 전파 속도 높인다… 독일서 500MW 규모 태양광 개발
- 한화큐셀, 美 150MW 규모 태양광발전소 전력거래계약 체결
- 한화큐셀, PVEL 모듈 신뢰성 평가서 ‘톱 퍼포머’ 선정… 7년 연속
- 한화큐셀, ‘제4회 대한민국 솔라리그’ 후원… 태양광 보급과 온실가스 감축 성과 겨뤄
- 대기업 10곳 중 3곳, “고객사가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 RE100 선택 아닌 필수인 시대 왔다
- 한화솔루션, 태양광 역량 강화 나선다… 국내에 7,600억원 투자
- 한화솔루션-삼성전자, 태양광으로 유럽 겨울나기 돕는다… 가정용 ‘에너지 플랫폼 시장’ 진출
- 한화큐셀, 도로와 철도 활용한 태양광 보급 확산 위해 동서발전과 ‘맞손’
- 한화솔루션, 100여개 중소 협력사에 ‘안전보건평가 지원’
- [인사] 한화솔루션, 신규 임원 승진자 26명 선임
- ‘대한민국 태양광 1번지’ 한화큐셀 진천공장을 가다… 2026년 ‘탠덤셀’ 양산 목표
- 한화큐셀, EU와 손잡고 차세대 태양광 셀 양산화 나선다
- ‘페트병으로 만드는 티셔츠’ 한화솔루션, ‘페트도 옷이 된다’ 프로젝트 확대
- 한화솔루션, 북미 태양광 시장 공략 가속화…‘솔라 허브’ 구축에 3.2조 투자
- 한화큐셀, 트리나솔라와의 태양광 셀 ‘PERC’ 기술 특허 분쟁 중단 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