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인천시가 2045년 탄소중립 실현을 선포했다.
인천시는 12월 6일 송도국제도시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저탄소도시 국제포럼’ 개회식에서 ‘2045 인천광역시 탄소중립 비전’을 선언했다. 이는 탄소중립 실현 시점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보다 5년 앞당긴 것으로, 인천시는 2045년 탄소중립 조기 실현을 위한 4대 정책 방향과 15대 과제를 추진한다.
인천시는 지난 2018년 인천에서 열린 제48차 IPCC(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 총회에서 지구 평균온도 1.5℃ 억제목표를 지향하는 ‘1.5도 특별보고서’를 채택한 ‘1.5도 선언도시’다.
‘2045 인천시 탄소중립 비전’ 선언문에는 기후위기 대응과 협력의 거점으로 2045 탄소중립 조기 실현을 위한 4대 정책 방향과 15대 추진과제가 담겨있다.
4대 정책 방향은 저탄소 경제-생태도시 조성, 맞춤형 시민 기후행동 확대, 글로벌 기후협력체계 활성화, 안전한 기후위기 적응 강화다. 또, 15대 추진과제는 2030년까지 18조5,000억원을 투자해 수소·풍력·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 수소버스로 전환 등 친환경 교통, 내구연한이 종료된 석탄발전 폐지 등 그린에너지 대전환을 준비하고, 신기후산업 육성 및 기술혁신 지원, 자원 선순환 강화, GCF Complex 건립, ODA사업 발굴, 저탄소 MICE 역량 강화, 기후변화 리빙랩, 갯벌·나무심기 등 흡수원 확충, 기후위기 취약성평가, 기후재난으로부터 정의로운 전환, 탄소중립 거버넌스 시민협의회 및 시민실천운동, 온실가스 환경지표 선정 공개 등이다.
인천시는 비전 목표, 성과 달성을 위해 시민·기업·공공과 함께 논의하고 국제사회와 지속적인 신뢰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시 유정복 시장은 “인천시는 앞으로 탄소중립의 대전환을 준비하는 비전과 로드맵 실천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그 역할을 성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며, “탄소중립 조기 실현을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동참, 그리고 정부와 국제사회의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인천시, ‘GIS 플랫폼’ 기반한 태양광발전시설 지도 공개
- 인천시, 2025년까지 24시간 소음측정망 294개소로 늘린다
- 인천시 이음카드, 10월 1일부터 연매출 3억 이하 가맹점서 10% 캐시백
- 인천시, ‘2050 인천시 탄소중립 전략수립’ 시민공청회 온‧오프라인 개최
- 인천시, 지역화폐 이음카드에 모바일 간편 결제 도입…5~17% 캐시백 혜택
- 인천시, 수도권 최초 ‘치매안심병원’ 9월부터 운영
- 인천시, 내년 수소차 2,127대 보급…수소충전소 8개 신규 확충
- 인천시, 한강하구 생태환경 한 눈에 볼 수 있는 정보시스템 시범 오픈
- 인천시, 올해 역대 최대 규모 2,127대 수소전기차 보조금 지원
- 인천시, 미니태양광 최대 90% 설치비 지원
- 인천시 부평구, 미니태양광으로 에너지 자립 확대
- 인천시, 올해 축구장 약 13개 크기 도시숲 조성
- 인천시, 신·재생에너지 발굴 및 보급으로 미래에너지 생태계 조성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