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LG화학이 국내 생산 제품의 원료 채취부터 제품 출하까지 환경 전과정평가(LCA) 수행을 완료하고 해외 생산 제품까지 확대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21일,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노력을 담은 17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며 이와 같은 내용을 담았다.
탄소 공급망 생태계 구축 노력을 적극 공개한 것이 특징이다. 협력회사가 원료를 채취하는 과정부터 이를 활용한 제품이 생산되고 고객에게 전달되기까지 전 과정에서 탄소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담았다.
LG화학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탈탄소 공급망 실현을 위해 지난해 762개의 협력회사가 실시한 ESG 평가를 기반으로 현장 개선과제를 도출했다”며, “이 중 6개사를 선정해 열교환기 등 설비 교체 및 사업장 환경 개선을 위해 총 17억원의 자금을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LG화학은 지난해 국내 생산 제품에 대해 원료부터 제조까지 단계별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 환경전과정평가)도 완료했다. 올해는 해외 생산 제품까지 모든 제품에 대한 LCA를 완료할 방침이다.
또한, 지속가능 경영 강화를 위해 진행한 △해외 7개 법인 재생에너지 전환 100% 달성 △여성 사외이사 2명(29%) 신규 선임 △전지 소재, 친환경 지속가능 소재, 혁신 신약 사업 투자 등 각 분야별 주요 성과도 소개했다.
LG화학 CEO 신학철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자체적인 공급망 ESG 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협력을 통해 고객과 협력사를 잇는 탈탄소 공급망 생태계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2030 북미·유럽 ‘분리막’ 생산능력 75% “K-배터리가 주도” 전망
- LG화학, ‘BC투어’ 나서… 3대 신성장동력 키울 인재 찾아 일본행
- LG화학, 전지소재 중심 급성장 중인 글로벌 ‘CNT’ 시장 공략 가속화
-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전지 소재 매출… 2030년 30조로 6배 키운다”
- LG화학-화유코발트, 새만금서 이차전지 소재 ‘전구체’ 생산 공장 건설
- LG화학-한양대, ‘전지소재 분야 우수인재 육성’ 위한 MOU 체결
- 현대차그룹, 탄소중립 달성 위해 선제적 기술 개발… 국내 대학 5곳과 공동연구실 설립
- LG전자, 2022-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LG화학, LX하우시스와 배터리 열폭주 지연 소재 개발… 1,500℃ 불길에도 20분 ‘거뜬’
-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올해 글로벌 배터리 산업 최대 25% 성장”
- LG화학, GM에 양극재 장기 공급… 25조원 규모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