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쓰오일 울산 온산공장 전경. /사진=에쓰오일
에쓰오일 울산 온산공장 전경. /사진=에쓰오일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석유화학업계가 사업 재편을 위한 자율 협약을 맺고, 현 나프타분해시설(NCC)의 최대 25%를 감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업계는 올해 연말까지 설비 감축과 고부가가치 전환을 통한 경쟁력 강화, 재무구조 개선 등을 포함한 사업재편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석유화학기업 10곳과 20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 재편 자율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서 업계는 자율컨설팅 결과를 반영해 270만~370만t 규모의 NCC를 감축하고, 올해 연말까지 기업별 사업 재편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는 현재 국내 전체 NCC 생산능력 1470만t의 18~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정부는 이날 오전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석화업계 ‘정부지원 3대 원칙’을 확정했다. 3대 원칙은 △3개 석유화학 산업단지 구조 개편 동시 추진 △충분한 자구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 재편 계획 마련 △정부 종합지원 패키지 마련 등이 주요 내용이다.

아울러 정부는 석화산업 구조 개편 3대 방향으로 △과잉 설비 감축 및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을 제시했다.

정부는 지역경제와 고용 충격 완화를 위한 대책도 병행한다. 정부는 앞서 지난 5월 여수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으며, 서산시를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노동부도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선정된 여수시에 고용유지지원금, 생활안정 자금 융자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석화업계에 “‘버티면 된다’, ‘소나기만 피하면 된다’는 안이한 인식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연말이 아니라 당장 다음 달이라도 사업 재편 및 경쟁력 강화 계획을 제출하겠다는 각오로 속도감 있게 제시해달라”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이번 협약은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전환기를 맞아, 산업계가 자율적으로 선제적 사업 재편 의지를 밝힌 것”이라며 “그간의 버티기 전략에서 벗어나 구조 개편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기업들이 제출하는 사업 재편 계획에 관한 타당성 및 기업들의 자구 노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이에 필요한 금융, 세제, 연구개발(R&D_, 규제 완화 등의 지원 패키지를 마련해 뒷받침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각 기업이 마련한 자구 노력에 따라 지원을 차등화하고, 사업 재편을 미뤄 다른 기업의 감산에 따른 이익을 기대하는 ‘무임승차’에는 지원을 배제해 불이익을 주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