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미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 필리조선소를 방문해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로 미국과 대한민국 조선업이 더불어 도약하는 윈윈의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스테이트 오브 메인(State of Maine)’호 명명식에 참석해 이같이 역설했다. 이 선박은 한화가 미국 해사청(MARAD) 발주를 받아 건조한 국가안보 다목적 선박 3호선이다.
이 대통령은 축사에서 “2차 세계대전의 승리를 이끈 50여척의 군함이 이 곳에서 탄생했고 필라델피아에서 탄생해 나아간 함정들이 구해낸 대한민국의 위대한 국민은 조선업 강국 대한민국의 신화를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게 탄생한 대한민국 조선업이 이제 미국의 해양 안보를 강화하고 미국 조선업 부활에 기여하는 새로운 도전의 길에 나서게 된다”며 “세계를 무대로 펼쳐질 마스가 프로젝트는 대한민국과 미국이 함께 항해할 새로운 기회로 가득한 바다의 새 이름”이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기업인과 노동자들이 허허벌판 위에 K조선의 기적을 일궈낸 것처럼 이제 한국과 미국이 힘을 모아 마스가의 기적을 현실로 빚어내자”며 “세계 제1의 저력과 역량을 마주한 필리조선소는 최첨단 선박기술을 보여주는 미국 최고의 조선소로 거듭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제 필리조선소를 통해 72년 역사의 한미 동맹은 안보·경제·기술 동맹이 합쳐진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의 새 장을 열게 될 것”이라며 “제가 트럼프 대통령에 제안한 ‘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프로젝트’는 단지 거대한 군함과 최첨단 선박을 건조하겠다는 것이 아닌 사라진 꿈을 회복하게 하겠다는 거대한 비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대통령은 동석한 미 정부 인사들에게 한국 기업의 투자가 원활히 진행되고 미국 내 사업 운영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제도적 지원을 다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날(25일) 백악관에서 가진 정상회담 직후 곧바로 조선소를 방문하면서 한미 조선업 협력 확대에 대한 의지를 적극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명명식에는 이 대통령 외에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 등 정부 및 대통령실 참모들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과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 데이비드 킴 필리조선소 대표 등이 참석했다.
미국 측에서는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토드 영 상원의원, 메리 게이 스캔런 하원의원 등이 자리했다.
필리조선소는 1801년 미국 해군조선소로 설립돼 1997년 민영조선소로 전환됐다. 이후 한화는 지난해 12월 이를 인수했는데, 한국 기업이 미국 현지 조선소를 인수한 첫 사례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한화그룹은 필리조선소(한화 필리쉽야드)에 50억달러(7조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한화그룹은 1500억달러 규모 조선산업 협력 투자펀드를 활용해 독(건조공간) 2개 및 안벽 3개를 추가로 확보하고, 12만평 규모의 블록 생산기지 신설을 추진한다.
또 한화오션의 자동화 설비와 스마트 야드, 안전 시스템을 도입해 고부가가치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만들고, 함정 블록 및 모듈 공급, 함정 건조도 이어갈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이러한 설비투자를 통해 현재 연간 1~1.5척 수준인 선박 건조 능력을 20척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한화그룹 해운 계열사인 한화해운(한화쉬핑)도 이날 행사를 계기로 한화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MR탱커)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중형 유조선 10척은 모두 한화 필리조선소가 단독 건조하고, LNG 운반선은 한국 한화오션과 공동으로 건조해 2029년 초 인도할 예정이다.
한화해운의 발주는 미국산 에너지를 수출할 때 미국 선박 사용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미국 통상법 301조 및 존스법 개정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서라고 한화그룹 측은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