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로고. /사진=AP통신, 연합뉴스
구글 로고. /사진=AP통신,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구글이 위성 이미지에서 주요 보안 시설을 가림 처리하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를 수용한다고 9일 밝혔다.

크리스 터너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사장은 이날 서울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구글은 한국 정부와 논의해 구글 지도의 위성 이미지에서 한국 내 민감 시설에 대한 가림 처리를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터너 부사장은 그동안 구글 지도 서비스와 관련해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이 한국 정부에 반출을 요청한 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GNI)에서 제작해 무료 배포하는 1:5000 국가 기본도로 이미 정부의 철저한 보안 심사를 거쳐 민감한 정보들이 제거된 상태”라며 “국내의 수많은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공개된 데이터여서, 이는 그 자체로 보안상 우려가 없다는 사실을 방증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구글은 이와 같이 보안 심사를 통과한 국가기본도의 해외 반출만을 요청하고 있다”며 “한국 내 대부분의 지도 서비스 업체들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데이터로, 현재 국내에서 SK 티맵모빌리티를 통해 서비스 중인 구글 지도 또한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별도 반출 승인이 필요 없는 1:25000 지도로도 내비게이션을 만들 수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터너 부사장은 “1:25000 지도는 1cm에 250m 길이를 담기 때문에, 복잡한 도심에서 상세한 길 안내를 제공하기에는 정보가 턱없이 부족해 길찾기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위성 사진에 대한 우려에 대해 터너 부사장은 “구글 지도 내 위성 사진은 다양한 전문 업체가 촬영, 오픈 마켓을 통해 판매하는 이미지”라면서 “이 같은 위성 사진은 구글뿐 아니라 개인이나 기업, 정부 등 누구나 손쉽게 구매해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구글은 한국 정부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지도와 구글 어스에서 민감 시설에 대한 가림 처리 등 추가적인 보안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터너 부사장은 티맵모빌리티 등 국내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은 한국 정부와의 협력을 지속하는 한편 티맵모빌리티 등 국내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강화할 것”이라며 “필요한 경우 이미 가림 처리된 상태로 정부 승인된 이미지들을 국내 파트너사로부터 구입해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