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김한준 퓨리오사AI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인공지능(AI)·반도체 제품 자체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야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한준 CTO는 최종현학술원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이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 빌딩에서 공동 개최한 ‘AI 스타트업 토크’ 강연에서 “소버린 AI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본질적으로 글로벌 경쟁의 영역”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강연에는 김 CTO 외에 조강원 모레 대표, 이주형 마크비전 AI 총괄이 연사로 참여했다. 세 사람은 모두 재단 장학생 출신으로 각각 AI 반도체·소프트웨어·브랜드 보호라는 각기 다른 영역에서 글로벌 사업을 하고 있다.
김 CTO는 AI 산업의 본질적 경쟁력에 대해 “AI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알고리즘의 동시 최적화가 핵심”이라며 “반도체 기업들도 소프트웨어 인력이 더 많을 정도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균형이 중요하다. 결국 협업을 통해 최적 지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강원 대표는 “소버린 AI는 인프라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주는 개념이지만, 뒤처진 기술을 내수 보호 논리로만 유지한다면 국가 경쟁력 자체를 해칠 수 있다”며 “오픈소스를 뛰어넘는 역량을 직접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 길로 △오픈AI API를 그대로 활용하되 서비스 장애와 의존성 위험을 감수하는 방안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하되 미국 최신 기술 대비 2~3년의 격차를 받아들이는 방안 △한국이 직접 더 우수한 모델을 개발해 오픈소스를 능가하는 성과를 창출하고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CTO는 “AI가 학습에서 추론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전력 소모와 컴퓨팅 파워 문제가 새로운 패권 경쟁의 핵심이 되고 있다”며 자사의 저전력 반도체 칩을 소개했다. 2017년 설립된 퓨리오사AI는 국내 대표 AI 유니콘으로, 최근에는 LG AI연구원·오픈AI와 파트너십을 맺고 실제 모델 실행 데모를 선보였다.
조 대표는 AMD 등 다양한 반도체 기업과 협업해 특정 칩에 종속되지 않고, 여러 하드웨어에서 최적화된 성능과 비용 효율을 구현하는 인프라 소프트웨어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 사례를 언급하며 “결국 진짜 경쟁력은 모델 자체보다 비용 구조를 혁신하는 소프트웨어에 있다”고 강조했다.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겸 한국고등교육재단 대표는 환영사에서 “51주년을 맞은 한국고등교육재단은 이제 훌륭한 학자를 양성하는 역할을 넘어,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는 능동적 인재를 키우는 것이 새로운 목표”라며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는 쉽지 않은 환경이지만, 그 속에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며 조직을 이끌어온 경험은 후배 세대에 큰 울림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