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25년 전 IMF 외환위기 당시 인수한 1조7704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아직까지 정리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캠코로부터 제출받은 ‘IMF 당시 인수 채권 관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캠코는 2000년부터 개인·법인 부실채권 22만8293건(총 5조1577억원)을 인수해 채무조정, 법적조치, 소각 등의 절차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2025년 8월 말 기준, 여전히 2만1433건(1조7704억원)의 채권이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개인채권은 1만8010건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하며, 금액은 3662억원에 달했다. 법인채권은 3423건, 1조4042억원으로 집계됐다.
박찬대 의원은 “국가 부도로 인해 채무를 떠안은 개인들이 다시 경제활동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 필요가 있다”며 “이재명 정부의 ‘새도약기금’ 정책 기조에 맞춰 IMF 위기 당시 발생한 장기연체채권도 채무조정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