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경북 봉화군과 석포면, 강원도 태백시 일대 주민들이 환경 문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석포 지역과 관련해 “현장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의 실제 목소리를 국제사회가 정확히 듣길 바란다”고 요구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최근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에 공식 서한을 보내며 환경단체 중심으로 진행된 간담회가 ‘지역 현실’을 왜곡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15일 경북 봉화군, 석포면 및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14일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의 피차몬 여판통 위원장에게 "석포에서 실제로 살아가는 주민들의 절박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달라"는 내용의 이메일 서한을 보냈다.
주민들은 서한에서 최근 진행된 UN 측 현장 방문 과정에서 ‘실제 거주 주민들이 배제됐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지난 1일 일부 환경단체와 변호사들이 피차몬 위원장과 함께 석포면을 찾아 간담회를 진행했지만, 정작 석포면 주민들은 참석하지 못한 채 외부 인사 중심으로 의견이 전달됐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공투위 측은 “당시 위원장이 만난 환경단체 회원들은 석포는 물론이고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전혀 아니다. 저희가 진짜 석포와 주변에 사는 주민들”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간담회 전날(10월 31일) 환경단체가 정식 공문이 아닌 메신저로만 회의실 사용을 요청했고, 주민 대상 안내나 참여 요청도 없었다”며 “주민 의견을 배제한 채 특정 주장만을 전체 민심으로 포장해 UN에 전달하려는 시도로 비칠 수밖에 없다”고 반발했다.
주민들은 또 석포제련소 운영과 환경 개선 문제를 둘러싼 현실도 함께 짚었다.
공투위는 “영풍 석포제련소는 환경단체의 정면 비판과 달리 폐수 외부 무방류 시스템, 오염 확산 방지시설 등에 현재까지 약 5200억원(올해 9월 기준)을 투입했다”며 “상·하류 수질은 환경 기준을 충족하고 있고, 제련소 앞 강에서는 멸종위기 1급 수달과 다양한 어종이 확인되는 등 변화를 주민들이 체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지역 주민들은 최근 직접 나서 집회를 열기도 했다. 공투위는 “석포·봉화·태백 주민 500여 명이 석포제련소 이전 논의 철회를 촉구하며 집회를 열었다”며 “일터와 삶터, 아이들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한목소리로 외쳤다. 이것이 실제 석포 주민들의 진짜 목소리”라고 강조했다.
공투위는 UN 측에 “저희의 간절한 요청은 공정하고 균형 잡힌 경청”이라며 “특정 환경단체 주장만 듣지 말고 지역 경제와 고용, 환경 개선 흐름, 주민 생존권 문제를 함께 살펴봐 달라”고 촉구했다.
공투위 관계자는 “우리는 대화에 열려 있다. UN 측과 주민 대표 간 직접 간담회, 현장 확인, 자료 제공 등 필요한 절차에 기꺼이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