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양국 관계를 “100년 동행”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도약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18일 현지 유력지 알 이티하드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취임 후 첫 중동 순방지로 UAE를 선택한 것은 양국 관계를 심화·발전시키겠다는 한국 정부의 굳은 의지의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양국 협력의 범위를 기존의 ▲투자 ▲방위산업 ▲원자력 ▲에너지 등 4대 핵심 분야에서 ▲인공지능(AI) ▲헬스 ▲문화 등 미래 첨단 분야까지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 메모리칩 생산에서 글로벌 리더로서, UAE가 필요로 하는 첨단 AI용 메모리칩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라며 “오픈AI 등 글로벌 기업과 한국 반도체 기업 간 협업은 한국의 기술적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이 건설한 UAE 바라카 원전에 대해 "12년간의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난해 9월부터 본격적 운영 단계에 들어갔다”며 “바라카 원전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에너지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전 기술 협력과 제3국 원전시장 공동 진출도 추진하겠다고 이 대통령은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양국이 체결한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대해 “한국산 전기차·하이브리드차, UAE산 석유화학제품 등 90% 이상의 교역 품목에 대한 관세가 철폐될 것”이라며 “양국이 긴밀한 경제 파트너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문화 분야 교류 확대 계획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2030년까지 UAE에 한국문화센터를 건립해 문화교류의 허브로 삼고, 두바이의 한류 제품 전시관 ‘코리아360’을 뷰티·요리 등 창조산업 허브로 확장하겠다”고 소개했다.
이를 위해 양국 간 입국 절차 간소화 및 디지털 기반 여행 서비스 개선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공급망 회복 탄력성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한국이 UAE에 의료 보호장비를 제공했고, 한국의 요소수 부족 사태 때 UAE가 대체 공급원이 됐던 사례를 언급하며 “이 같은 상호 신뢰 기반 경험은 일회성 대응이 아니라 위기 극복의 모델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기후분야 협력과 관련해 "한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며 “UAE가 COP28 개최와 기후금융센터 설립 등 기후금융 확대를 선도한 점이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UAE는 한국 원전을 세계 최초로 도입하며 우리 기술을 신뢰했고 한국은 15년간 약 4000 명의 장병을 파견하며 우정을 쌓아왔다”며 “첫 국빈 방문지로 UAE를 찾은 것은 양국 관계 발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