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업무지구 모습. /사진=GettyImage
서울 여의도 업무지구 모습. /사진=GettyImage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올해 대기업 임원 인사에서 1970년대생 임원들이 고위급으로 전진 배치되고 1980년대생 임원의 기용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올해 연말과 내년 초 단행되는 대기업 임원 인사의 특징을 조사해 19일 공개했다.

◆ ‘칠전팔기’… 70·80년대생 임원 전진 배치

이번 임원 인사의 가장 두드러진 흐름은 ‘칠전팔기’로 요약된다. 이는 1970년대생이 사장·부사장 등 고위 임원으로 대거 전진 배치되고, 1980년대생의 첫 임원 기용이 더욱 확대된다는 의미다.

현재 100대 기업 임원의 약 70%는 1970년대생으로, 이미 재계의 중추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 같은 구조적 흐름 속에서 올해 말·내년 초 인사에서 1970~1976년생 중 부사장·사장 등 고위 임원 승진자 명단에 대폭 확대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삼성전자의 경우 올해 3분기 기준 1970년대생 사장은 용석우(1970년)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최원준(1970년) MX사업부 최고운영책임자(COO), 마우로 포르치니(1975년) 최고디자인책임자(CDO) 3명이다.

부사장 320여명 가운데 1970년대생 비중은 61% 수준으로, 그중 7%는 1975년 이후 출생자였고, 2026년 인사에서는 해당 비율이 10%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연구소는 내다봤다.

SK그룹은 최근 인사에서 70년대생 사장을 5명이나 배출했다. LG전자는 아직 70년대생 사장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첫 배출 여부도 주목해 볼만하다. LG전자 부사장급에서 70년대생 비중은 현재 20% 내외로, 내년에는 30%대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자동차는 이번 인사에서 부사장 승진자가 3~6명 이상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이럴 경우 현대차 부사장 중 70년대생 비중은 올해 3분기 32%에서 내년 40%대로 높아질 수 있다.

/자료=한국CXO연구소<br>
/자료=한국CXO연구소

◆ ‘삼말사초’… 30대말~40대초 젊은 임원 급부상

다음으로 주목할 것은 1982년~1989년생인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젊은 임원 발탁이 확대되는 ‘삼말사초’ 현상이다. 현재 국내 100대 기업에서 해당 연령대 임원은 약 100명이 활동 중이며, 내년에는 이들 임원 층이 한층 두터워질 전망이다.

인공지능(AI)·데이터·신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들이 해당 연령대의 인재를 임원으로 적극 중용하려는데, ‘삼말사초’ 인재의 경우 조직 기여 기간이 10년 이상도 가능하고 차세대 최고경영자(CEO) 후보군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매우 높아 기업의 핵심 전략 자산으로 평가받는다.

이들 ‘삼말사초’ 임원 중에서도 30대에 기업의 별인 임원에 오르는 초특급 인재를 뜻하는 ‘삼별초’는 더욱 특별하다.

올해 30대에 임원이 될 수 있는 1986~1989년생은 잠재적 삼별초 후보군에 속한다. 삼성전자, 네이버, SK텔레콤 등에서도 이미 다수의 30대 임원을 꾸준히 배출한 바 있어 2026년 인사에서도 30대 임원 발탁 현실 가능성은 매우 높은 편이다. 최근 CJ그룹에서 30대 임원만 5명이 등장해 세대교체 흐름을 가속화했다.

대표적인 삼별초 임원 가운데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 있다. 1968년생인 노태문 사장은 지난 2007년에 30대 나이에 상무보로 승진하며 임원 대열에 처음 합류했고, 이후 20년 가까운 임원 경력을 쌓으며 현재 이사회 멤버로 활동 중이다. 노 사장의 경우 내년 3월 정기주총 이후 대표이사 선임 여부도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 외국인·외부·연구·기술 인재 영입도 강화

국적과 배경을 막론하고 기업 내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능한 외부·외국인 인재를 적극 영입한다는 의미의 ‘외유내강’도 주목된다. 특히 AI·테크 기반의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면서 △유학파 출신 한국인 인재 △글로벌 기업 경력자 △우수 외국인 전문가 등을 임원으로 발탁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고크리스토퍼한승(고한승) 및 마우로 포르치니 사장을 비롯해 다니엘 오·데이브 다스·데이빗 리·마크 리퍼트 부사장 등 여러 외국인·글로벌 출신 임원이 활약 중이다.

현대차에서도 글로벌 출신인 무뇨스 바르셀로 호세 안토니오 사장이 등기임원으로 활약하고 있고, 루크동커볼케·브라이언 라토프 사장 등 외국인 리더들도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이 밖에 기업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연구개발(R&D)·이공계 기반 금쪽같은 인재를 지칭하는 ‘연기금’도 눈길을 끈다. AI·데이터·바이오 등 첨단 산업 확대로 국내 기업들은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과 포항공대(포스텍·POSTECH) 등과 같은 이공계 특성화 대학 출신 인재를 중심으로 ‘연기금 확보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업 중 임원이 가장 많은 삼성전자도 카이스트와 포스텍 석박사 출신만 10%를 훌쩍 넘길 정도다. 내년 인사에서도 R&D 전문가, 핵심 기술 리더, 산업별 최고 기술 인재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점쳐진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발탁과 승진을 포함해 2026년 대기업 임원 인사 폭은 이전해보다 감소하고, 경영 효율성 차원에서 전체적인 임원 자리도 줄어들 수 있다”면서도 “다양성 강화 차원에서 여성 임원은 더 늘리고, 안전과 환경을 포함해 ESG 관련 임원 자리는 예전보다 더 많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