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광주광역시와 독일 라이프치히시가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공동 협력에 나선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지난 12월 3일,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부르크하르트 융 독일 라이프치히시장과 1시간여에 걸친 영상회의를 갖고, 코로나19 대응전략과 그린뉴딜 정책 등 경제·문화·인권 등 분야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12월 3일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독일 라이프치히 부르크하르트 융 시장과 영상회의를 갖고 코로나19 대응 전략과 그린뉴딜 정책 등에 대한 양 도시간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12/40576_38061_1936.jpg)
이용섭 시장은 그동안 슈뢰더 전 독일총리, 라이펜슈툴 독일대사 등과 만나 논의했던 독일과의 협력 방안을 설명하고, “광주시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을 목표로 AI-그린뉴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독일을 비롯한 유럽연합(EU)은 우리보다 앞서 기후 대응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고 있는 만큼 라이프치히가 노하우를 공유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이 시장은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으로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과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을 축소·비대면으로 진행했다”며, “내년 광주에서 열리는 세계인권도시포럼에 ‘한·독 인권회의’ 프로그램을 신설할 계획이므로, 독일 통일의 단초가 된 1989년 10월 9일 발생한 평화혁명 발원지인 라이프치히가 주(主)파트너로 참여해주길 바라고, 내년 5·18기념식에 부르크하르트 융 시장님을 초청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부르크하르트 융 라이프치히 시장은 “광주의 AI-그린뉴딜 계획은 2045년까지 탄소 중립도시를 조성하는 것으로, 2050년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독일의 탄소 중립 계획보다 5년이나 앞서 있다”며 “앞으로 양 도시가 AI-그린뉴딜 분야 정책을 공유하고, 적극 협력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융 시장은 “라이프치히와 광주시는 2012년 우호협정을 맺은 이래 문화, 예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협력해왔다”며, “라이프치히시와 광주시는 독일과 대한민국의 대표적 민주·인권도시로서, 앞으로도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자”고 덧붙였다.
한편, 광주시와 라이프치히시는 지난 2012년 우호협정체결을 맺은 이후 상호 방문교류를 이어왔으며, 올해는 광주시의 해외자매우호도시 화상회의를 통해 코로나 이후 지방정부 대응방안을 공유한 바 있다. 또한, 내년에는 시립미술관 상호 교류, 광주 미디어아티스트의 라이프치히 빛의 축제 참여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 녹색에너지연구원, 에너지밸리산학융합원과 에너지·ICT 기술확산 나서
- 환경부, 녹색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그린뉴딜 힘 보탠다
- 광주형 AI기반 디지털 뉴딜정책, 기업 유치로 탄력
- ‘화려한 AI가 빛고을을 감싸네’ 광주광역시, 인공지능 인재 육성 본격화
- 한전, 35개 기업 및 지자체와 ‘에너지 밸리 투자협약’ 맺어
- 광주‧울산‧시흥, 수소‧AI 등 신산업 중심의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
- 광주광역시, 인공지능 연구기관 설립 ‘잰걸음’… AI 생태계 조성 나선다
- 광주-텔스타홈멜, AI연구소 및 미래차 스마트팩토리 구축 협력
- ‘2050 탄소중립’ 정부, 본격 행보 개시… 에너지전환 가속화 추진
- 광주시, 수소충전소 구축 및 핵심기술 개발 나서
- 광주시, 배출가스 5등급차량 운행 제한… 위반시 과태료 10만원
- 세방리튬배터리, 광주에 1,150억원 투자해 제조공장 건설
- 광주시, 저탄소 녹색아파트 조성 보조사업자 모집
- ‘에너지 절약해 성과금 받자’ 광주시, ‘탄소포인트세’ 시행
- 광주시, 2024년까지 초미세먼지 저감 대책 강력 추진
- 광주시, 노후 경유차 6,154대 조기폐차 지원
- 광주시, 시민과 함께 태양광발전소 운영… 제1호 시민햇빛발전소 가동
- 광주역 일대에 창업기업 지원 인프라 + 생활형 인프라 모델 ‘그린 스타트업 타운’ 들어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