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KOTRA(사장 권평오)가 ‘주요국 그린뉴딜 정책의 내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KOTRA는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인도 등 세계 주요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그린 모빌리티, 청정에너지 확대 등 그린뉴딜 정책을 본격 도입 중인 것으로 파악했다. 탄소배출을 줄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효과까지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1/40963_38706_722.jpg)
미국은 올해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친환경 정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취임 즉시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기후협정에 재가입하고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0(Net Zero)’을 목표로 연방예산 1.7조 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환경보호와 경제 재건을 목적으로 무공해자동차와 청정에너지 도입, 스마트시티·그린시티 등 친환경 도시정책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린뉴딜 사업에도 ‘바이 아메리칸’ 정책을 시행해 자국산업 보호에 나설 가능성도 크다.
EU는 유럽그린딜을 발표하며, 2050년까지 세계 최초로 탄소중립 대륙이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EU 집행위원회는 가장 환경 친화적인 경기 부양책으로 평가받는 유럽그린딜에 예산 1조 유로 이상을 투자할 방침이다. 유럽그린딜은 그린 모빌리티, 청정에너지, 에너지 효율, 순환경제 등 분야를 포함한다. 하지만 녹색공공조달제도 및 탄소국경세의 역외국 적용 등 녹색보호주의 확산에 대비할 필요도 있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1/40963_38707_752.png)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 중국은 탄소배출 감축 요구에 대해 그동안 선진국-개발도상국 간 차별적 책임 원칙을 고수했다.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책 마련 요구가 커지면서 최근 중국 정부는 206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발표하는 등 입장 변화를 보이고 있다. 다른 주요국의 탈탄소 그린뉴딜 정책과 달리 중국은 신 인프라 정책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인프라의 범위를 정보·융합·혁신 분야로 확대하고 5G,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녹색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인도는 중국, 미국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 3위 국가이지만 뚜렷한 그린뉴딜 정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개발에 주력하면서 낙후된 인프라 개선을 위해 100대 스마트시티 건설에 역점을 두고 있다.
KOTRA 손수득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주요국의 그린뉴딜 정책은 규제인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작용한다”며, “우리는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녹색산업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녹색보호주의 확산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2021 태양광 시장전망] 그린뉴딜 정책이 태양광 살려… REC, 계통 등 숙제 남아
- 탄소중립사회 탄력, 저탄소·친환경 고속열차 첫 운행… ‘KTX-이음’ 5일부터 정식 운행
- IEA, “2020년 에너지효율 개선 속도, 0.8% 전망”… 10년 만 최저 수준
- ‘그린뉴딜기본법’ 온라인 공청회 열려… “2050 탄소중립 달성 의무 법제화해야”
- 문 대통령, 탄소중립 사회로의 대전환 시동… “에너지 구조 전환이 출발점”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불 165개 기업 그린‧바이오분야 협력방안 논의
- 현대경제연구원, “2021년, 디지털화 진전으로 IT기기‧산업용로봇‧생산자동화기기 후방효과 예상”
- ‘탄소중립 달성’ 행보 시작한 바이든, 내각 인사 구성
- 국내 산업, 탄소국경세 대응 필요… 최대 1조8,000억원 부담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