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새로운 탄소중립 실현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송용 탄소중립연료(e-fuel)를 연구할 연구회가 만들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4월 15일 서울 자동차회관에서 ‘수송용 탄소중립연료(e-fuel) 연구회’ 발족식을 열고 e-fuel 국내외 동향 공유 및 향후 과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족식에는 산업부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을 비롯해 현대자동차, SK에너지, 현대오일뱅크, KAIST 배충식 교수, 서울대 민경덕 교수,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화학연구원 등 연료·수송 분야 관계자 및 전문가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연구회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은 e-fuel 글로벌 동향 및 국내여건, 국내 e-fuel 관련 기술개발 현황, 자동차 적용을 위한 과제 등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e-fuel은 기존 내연기관을 사용하면서도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어, 그동안 국내에서 e-fuel 적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독일, 일본 등에서는 e-fuel 관련 제도 정비 및 R&D가 추진되고 있다.
연구회는 앞으로 월 1회 정례 연구회 활동을 통해 e-fuel 적용 필요성을 검토하고, 연료의 경제성 확보, 수송기관 적용 기술 등의 중장기 기술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연구회 결과물 등을 활용해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탄소중립 4대 챌린지(Challenge)’ - ‘CO2재활용 프로젝트’ 추진에도 힘쓸 방침이다.
산업부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수송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기·수소차 보급을 지속 확대할 것이며, 특히 다양한 기술개발·실증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많은 기술적 장벽이 있겠지만 내연기관도 청정연료를 사용하면 탄소중립 달성이 가능할 수도 있는 만큼, 현존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혁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 자동차업계, 2050 탄소중립 도전 공동 선언… ‘자동차 탄소중립협의회’ 출범
- 2050 탄소중립 수소경제 분야, 첫 산학연관 채널 가동
- ‘환경’ 기치 내건 바이든, 미국 에너지 시장 대전환 예고
- 영국, 녹색산업혁명 추진 위한 10대 중점계획 발표
- ‘2050 탄소중립’ 정부, 본격 행보 개시… 에너지전환 가속화 추진
- 산업부, 내년도 예산 11조1,860억원 확정… ‘그린뉴딜’ 투자 본격화
- 문 대통령, 탄소중립 사회로의 대전환 시동… “에너지 구조 전환이 출발점”
- 에너지연, 지능과 친환경 더한 전기차 충전시스템 개발… 전기차 확산 기여 기대
- 영국, 수소경제 통해 ‘포스트 코로나’, ‘탄소제로’ 달성 목표
- 산업부문 2050 탄소중립 달성 위한 컨트롤타워 출범
-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 상한 10%→ 25%로 확대
- “바로 지금, 나부터! 2050 탄소중립”… 28일까지 기후변화주간
- 발전소주변지역법 시행령 일부개정, 신청 주체 지자체장으로 확대
- 산업부, 탄소중립 기술혁신 ‘R&D 라운드테이블’ 첫 개최
- 바스프, 2050년까지 탄소중립 넷제로(Net Zero) 달성한다
- 산업부, 2022년 탄소중립 R&D 투자 늘린다… 산업공정 부문 3배 가량 확대
- 한국재료연구원, 탄소중립소재기술연구기획단 신설
- 문 대통령, “올해 대한민국 탄소중립 원년으로 삼겠다”
- ‘점차 입지 좁아지는 석탄화력’ G7, 신규 자금조달 전면 중단 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