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광주광역시(시장 이용섭)에 첫 민관합동 태양광발전소가 지어졌다. 해당 발전소는 학교에 지어졌으며, 연간 발전량 786MWh의 청정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는 광주 4인 가족 210세대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기량이다.
빛고을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은 지난 24일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건물 6개 동 옥상에 설비 용량 598kW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을 준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전소 준공으로 연간 380t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예상되며, 이는 소나무 3만6,000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다.
20년생 소나무 1그루가 0.00276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것을 전제로 계산한 수치다.
광주전자공고 민관협력 태양광발전소의 사업비 8억원 중 2억원은 시민 53명이 참여하는 시민 펀딩으로 마련했다. 광주시 역시 2억원을 투자했고, 4억원은 금융기관 여신을 통해 마련했다.
빛고을협동조합은 광주전자공고에 옥상 임대료로 매년 1,200만원을 지급한다. 이와 함께 내년 3월부터는 기후위기 대응 환경교육 직접 지원비 명목으로 매년 600만원을 지원한다. 또한, 빛고을협동조합은 운영비를 제외한 발전 수익금 전액을 지역 에너지 전환기금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전환기금은 추가로 태양광발전시설을 건설하고 광주시가 추진하는 에너지전환 마을사업과 연계해 후발 협동조합 설립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중·고교와 대학교의 기후위기 대응 관련 동아리 활동 지원에도 사용된다.
빛고을협동조합 정은진 이사장은 “시민과 자치단체, 광주시교육청, 학교 구성원들이 관심을 갖고 힘을 모아 시민햇빛발전소를 준공했다”며, “이번 학교 옥상 햇빛발전소 준공을 계기로 광주 초·중·고교와 대학 캠퍼스 유휴지 등에 시민참여형 햇빛발전소를 세워지며, 미래 세대들이 기후위기에 실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길이 확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오는 2045년까지 시민·학생 참여형 햇빛발전소 145개를 설립한다는 방침이다.
- 광주시, 에너지자립도시 본격화… 그린에너지 생산 확대 및 시민 참여 활성화
- ‘전대미문’ 태양광 보급 확대나선 인천시, 일반건축물까지 전면 확대
- 한국에너지공단, “지난해 재생에너지 민간단체 협력 사업 성공적 마무리”
- 광주시, 에너지자립 마중물 ‘에너지 전환기금’ 조성
- 광주광역시, 에너지 선도사업 발전방향 시민과 함께 모색한다
- 경기도민햇빛발전소 1~3호기 경기아트센터에 준공
- 이제는 나눔형 모델이 대세!, ‘나눔형 모델’로 진화하고 있는 태양광 사업
- 대구시민햇빛발전소협동조합, 태양광 수익 시민과 나눈다
- 광주시, 태양광에 시민참여 확대…태양광 중심 그린뉴딜 본격 추진
- 광주시, 에너지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광주에너지정보플랫폼’ 운영
- 아이티엘, 조명 원격제어 기술로 에너지효율 높인다
- 광주시, ‘광주주거복지포털’ 오픈…공공임대주택 손쉽게 검색
- 광주시, 수도권 인공지능 유망기업과 108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 광주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사회 만든다… 중장기 정책목표 및 전략 수립
- 광주시, 광주공공배달앱 지원·할인혜택 확대
- 광주시, 전기차 신차구입 지원금 확보로 780대 추가 보급
- 광주시, 4차 산업형 장애인 디지털 인재 육성 메카 발돋움 위한 첫발 내딛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