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충남도는 10월 27일 아산 소재 충남과학기술진흥원에서 ‘인공지능(AI) 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실증 랩(연구실)’ 개소식을 열고, 지역의 주력산업인 친환경 모빌리티(이동 수단) 제조산업의 혁신을 위해 인공지능 활용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현재 충남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특화산업 인공지능 융합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5월부터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에 융합·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솔루션) 개발을 추진 중이다.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되면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제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지금의 방식을 인공지능 적용 방식으로 전환해 다량의 불량 정보(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이 불량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등 검사 정확도가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충남도는 인공지능 기술은 검사 지능화 외에도 생산공정 최적화, 제품설계 지능화 등 다양한 생산공정에 적용할 예정이라며 인공지능 도입 후 기업의 생산성은 7% 이상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실증 랩은 충남과학기술진흥원이 있는 아산 요진와이(Y)몰 내 총면적 160.22㎡ 규모로 조성했으며, 제조 데이터를 가공·학습할 수 있도록 시설과 장비를 구축했다.
특히 충남도는 해당 데이터가 기업 내부 데이터인 만큼, 안전하게 가공·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통신망, 접근권한 설정·권리 등 각종 보안시스템을 철저히 설계·구현했다.
충남도는 실증 랩을 통해 사업 참여기업과 함께 인공지능 개발·실증을 추진하고 지역산업 고도화 및 정보통신기술(ICT) 신산업 육성을 이끌 계획이다.
충남도 김범수 미래성장과장은 “실증 랩 구축으로 인공지능 기술 개발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실증 랩이 도내 인공지능 산업 발전의 기반 역할을 톡톡히 할 수 있도록 지원·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충남TP 김상호 이차전지기술센터장, “차세대 산업 ‘배터리’… 대·중소기업 상생과 경쟁력 강화 지원할 것”
- 충남도,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탈석탄 2022 국제 컨퍼런스’ 개최
- 충남도, 미래 먹거리로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키운다
- 충남도, 서울-부산 20분 주파 가능한 ‘하이퍼튜브’ 종합시험센터 유치 총력
- 충남도, 135개 경로당에 태양광 설치 지원
- 충남도, 환경기초시설에 태양광발전소 설치량 높인다
- 충남도농업기술원, ‘내 나무 심기, 탄소중립 실천 캠페인’ 전개
- 충남도, 도 소관 위원회 73개 폐지·통폐합…대대적 정비
- 충남도,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활용해 서해권 탄소 영구 격리 나선다
- 충남도, 서산 간척지에 대규모 ‘청년 스마트팜’ 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