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충남도가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을 미래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한다. 석탄화력발전 조기 폐쇄로 지역경제가 위축된 보령에서 에너지산업 전환 지원 사업의 첫 발을 뗐다.
충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술 개발’ 사업 대상에 최종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석탄화력발전 대체 산업 육성을 위해 충남도가 보령시와 기획·발굴해 정부에 제안한 사업이다. 공모 선정에 따라 도는 보령 관창산업단지 내에서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개발, 장비·기반 구축, 실증 등을 추진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주관하고, 충남테크노파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지연구조합, 순천향대 등이 참여키로 했다.
세부 사업으로는 △전기차 실주행 기반 배터리·차량 데이터 플랫폼 개발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 응용제품 검증 기술 개발 △리튬이온전지 최적 재활용 공정 기술 개발 등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도는 올해부터 4년 동안 국비 150억원을 포함, 총 300억원을 투입한다. 도는 이 사업이 탈석탄 지역 대체 산업 발굴·육성의 성공 모델이 되고, 빅데이터 기반 자원 재활용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저탄소 산업 구조 전환을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도와 보령시가 지난해부터 보령시 주포면 관산리 일원에서 추진 중인 ‘자동차 튜닝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과의 연계 효과가 클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튜닝산업 생태계 조성은 2025년까지 5년 간 253억원을 투입, 내연기관 자동차를 전기차로 개조하고 성능 평가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충남도 유재룡 미래산업국장은 “국내외 전기차 수요에 따라 폐배터리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용 후 배터리 활용 산업 육성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새롭고 편리한 방식의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프로세스를 개발, 충남을 사용후 배터리 산업 중심지로 만들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등록 전기차 수는 2013년 1,464대, 2015년 5,712대, 2017년 2만5,108대, 2019년 8만9,918대, 지난해 10월 20만5,162대로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 [B트렌드] K-배터리 3사 ‘2분기’ 경영실적 발표… 하반기 전략은?
- 제주도에 미래 폐자원 재활용산업 육성 위한 대규모 자원순환클러스 들어선다
- LG엔솔-화유코발트, 중국 내 최초 한중 합작 배터리 리사이클 공장 세운다
- 솔라라이트, 친환경 폐배터리 재활용 솔루션 제공... 기업 ‘ESG 경영’ 지원
-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 2030년 6조원, 2040년 66조원 규모로 성장한다
- ‘탄소중립산업포럼’ 오는 29일 개최... 전기차·배터리·에너지 미래 전략 공유
- 국표원,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표준화 나서... 협의회 발족
- 세계 최대 전기차 경주 13일 개막… 10일 개최되는 ‘서울페스타 2022’와 함께 열려
- GS커넥트, 경북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규제자유특구 지정 선포식 참여
- 솔라라이트, 안정적인 대용량 폐배터리 방전 솔루션 ‘다단건식방전’ 개발
- 성일하이텍, 유럽 내 K-배터리 입지 다져… ‘폴란드 배터리 리사이클링파크’ 준공
- 리튬이온배터리 열화 발생 막을 해법 찾았다… 소재 설계 새 방향 제시
- 충남도,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탈석탄 2022 국제 컨퍼런스’ 개최
- [배터리규제혁신②]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규제 풀고 국제 무대로… 국가 신산업 육성 박차
- 전남도,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시장 선점 나서… 전후방 연계산업 육성
- 충남도, 제조산업 혁신 위해 인공지능 활용 본격화
- 충남도, “생활 속 탄소중립 자전거 타기로 실천해요”
- 충남도, 내포신도시 메타버스 구현한 ‘내포혁신타운’ 구축
- 충남도, 도 소관 위원회 73개 폐지·통폐합…대대적 정비
- 충남도, 5년간 이차전지 산업 136억원 지원… 2025년까지 140억원 투입
- 보령시, 공공주도의 태양광집적화단지 조성한다
- 보령호‧홍성호에 202MW 규모 태양광발전소 들어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