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전기 사용량이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2036년까지 약 26GW ESS가 필요할 전망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 최대 45.4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장관 이창양)는 이러한 전망에 따라 안정적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ESS 시장 진출을 위해 지난 30일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 출범회의(Kick-off)를 개최하고 ESS 산업 발전전략 수립 방향 및 해외 정책 동향 등을 논의했다.
![정부가 2036년까지 약 26GW ESS가 필요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최대 45.4조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전력연구원]](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301/48667_51827_192.jpg)
정부는 ESS가 전력저장을 통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등이 가능해 전력시스템에서 갈수록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글로벌 에너지 리서치 업체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은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으로, 2021년 110억달러에서 2030년 2,620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등 선진국들은 폭염‧한파 등 극한 기후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전력시스템에서 에너지스토리지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나아가 ESS 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개발, 규제개선 등 지원정책을 통해 전력공급 안전성 강화와 신시장 선점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2030년까지 대규모 장기 에너지저장장치 비용 90% 감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은 2021년부터 LDES 상업화 가속화를 위해 1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산업부 이호현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좌초자산화되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주기‧대용량 ESS 도입이 필수적”이라며,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양한 ESS를 전력망과 연계하는 스토리지믹스 계획 마련, R&D, 실증 및 사업화 지원 등 에너지스토리지 생태계 조성, 나아가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ESS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에너지공단, 지난 5년 간 157.6MWh 규모 ESS 보급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기반 조성
- 효성중공업,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기술력으로 ‘글로벌 N0.1 ESS 기업’ 도약한다
- 한전 전력연구원, 하이브리드형 ESS 개발해 신재생에너지 간헐성 극복한다
- 나라다에너지, 화재 건수 ‘ZERO’ 달성한 ESS로 글로벌 시장 선점 가속화
-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글로벌 시장 VS 암흑기 국내 시장, ESS 산업의 향방은?
- 원격감시제어기능을 갖춘 3MW 태양광발전소까지 전기안전관리자 직접 고용 의무 면제
- 산업부, 중소·중견기업 기술사업화 연구개발 지원한다
- 4대 업종 탄소중립 기술개발에 9,352억 투입… 2050년 온실가스 1.2억t 감축 목표
- 한·영, 에너지 전환 공동선언문 발표…원전 업계 노하우 공유
- 그린수소로 재생에너지 변동성 ‘극복’… 국내 연구진, 미래 전력망에 적합한 모델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