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카카오(대표 홍은택)는 지난해 제주 오피스의 사용 전력 전체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했다고 밝혔다.
22일 카카오에 따르면 제주 오피스는 REC(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를 통해 필요한 재생에너지 전력을 충당했다. 최근엔 주요 계열사가 있는 판교 아지트에서도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을 시작했다.
카카오는 앞서 에너지 IT 분야 스타트업 브이피피랩(VPPlab), 에너지 IT 소셜벤처 식스티헤르츠와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브이피피랩으로부턴 제주도 내 풍력발전 에너지를 수급했다. 식스티헤르츠를 통해선 경기도 시민조합이 생산한 태양광발전 전력을 조달했다.
이들 기업과 협업으로 조달한 총 전력은 총 4,000MWh 규모다.
카카오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Active Green Initiative)’ 원칙을 이행 중이다.
재생에너지 조달 규모를 2030년 60%까지 확대한 후 2040년엔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2022년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Active Green initiative)를 선언했다.
지난해 6월엔 자체 개발한 환경 기여임팩트 지표인 ‘카카오 카본 인덱스(Kakao Carbon Index)’를 공개했다.
아울러 2023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월드에 3년 연속 편입됐다.
카카오 육심나 ESG사업실장은 “제주 오피스와 판교 아지트에서의 재생에너지 조달은 지역 상생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뜻을 모은다는 의미”라며, “친환경과 탄소중립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기 위해 여러 방안들을 검토하고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 메타, 330MW 태양광 재생에너지 구매… EAPAs 체결
- ‘2023 분산에너지 컨퍼런스’ 열려…수용력 강화 방안 논의
- 인텔, 모든 코어에 AI 가속 기능을 지원하는 ‘5세대 인텔 제온 프로세서’ 출시
- 해남 태양광 집적화 갈등… ‘합의 형성 프로그램’ 기반 소통 시험대
- HSBC, 넷제로 전환 플랜 구체화… 태양광 등 전력 계통 인프라 강조
- 경기 북부청에 360kW 태양광 준공… 경기 RE100 첫 결실
- 브이피피랩-KAIST 계량예측연구실, 재생e 발전량 예측 기술 공동개발 업무 협약
- 브이피피랩, 중기부 ‘초격차 스타트업 1000+’ 선정
- 브이피피랩, 실시간 전력시장 입찰률 100%… 패널티 0원 성과
- [In터뷰] 브이피피랩 차병학 대표, “REC 가격 불안정과 참여 저조… 명확한 RE100 수요 있어야”
- 식스티헤르츠, 에너지기술연구원과 VPP 핵심기술 연구 협력 MOU
- VPP 입은 제주 분산에너지 활성화 전략… 특화단지 지정 경쟁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