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RE100에 이어 RE200이 등장했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광명학온 공공주택지구에 조성되는 문화공원 관리동을 에너지 자립률 200%인 ‘RE200’ 건축물로 짓는다고 지난 6일 밝혔다.
정부는 고단열, 고기밀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제로에너지 건축을 확산하기 위해 2017년부터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기존 1~5등급에 더해 에너지 자립 수준이 120%를 초과하는 최상위 단계인 플러스(+) 등급을 도입했다. 이번에 GH는 플러스 기준을 훌쩍 넘어서는 자립률 200%(RE200)에 도전하는 셈이다.
RE200 건축물로 조성될 광명학온지구 문화공원 관리동은 연면적 약 660㎡로 에너지 홍보관, 카페, 하늘 전망대 등 시민들이 자주 방문하는 시설이 갖춰질 예정이다.
GH는 지하 유출수를 활용한 냉난방, 태양광을 사용한 에너지 생산, 에너지 소비량 절감(패시브/액티브) 기술 등을 적용해 관리동의 에너지자립률을 20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생산된 에너지는 카페, 공원 조명, 전기차 충전소 등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다.
GH가 시행하는 광명학온지구는 광명시 가학동 일원 약 68만4000㎡ 부지에 4,317세대의 주택을 공급하는 공공주택사업으로 지난해 11월 착공했다.
GH 김세용 사장은 “광명학온지구에 이어 공사가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신도시 기반시설 제로에너지 건축물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며, “RE100이 사회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공공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광명시, 광명시민체육관 전면에 ‘컬러 BIPV’ 설치
- [In터뷰] KTC 신정현 책임연구원, “BIPV 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는 ‘내화·장수명·경제성’에 있다”
- 정부, 국가적 차원의 에너지 효율혁신·절약 추진… 전 부처 역량 결집
- 경북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한다
- 전주자연생태관, 전주를 대표하는 탄소중립 건축물로 거듭난다
- 2025년부터 모든 철도역에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전면 적용
- 서울시, 양천구 온실가스 집중감축한다… ‘에너지혁신지구’ 조성
- 광진구청 통합청사, ‘에너지 자립 청사’ 구현해 탄소중립 실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