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로밍 자동 정산 기술, 국제 협력 통해 차세대 국제 로밍 정산 체계로 확대
[인더스트리뉴스 전시현 기자] KT는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반으로 ‘실시간 로밍 자동 정산’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활용하면 한 달씩 걸리던 통신사 간 로밍 정산을 발생 건 별로 실시간 정산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면 계약과 거래가 이행되는 디지털 계약 방식이다.
![[사진=pixabay]](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5/23937_14699_2958.jpg)
그동안 로밍 서비스는 통신사가 ‘국제 로밍 정산소(DCH/FCH, Data Clearing House/Financial Clearing House)’를 통해 로밍 정보의 검증을 거쳐 요금을 정산해왔다. 국제 로밍 정산소를 거치면 실시간 사용 내역 확인이 어렵고, 오류를 수정하는 등 정산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돼 왔다.
‘실시간 로밍 자동 정산’ 기술은 통신사간 로밍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 통신사간 교환하는 사용내역 데이터를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으로 각각 자동으로 검증·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오류가 없다면 실시간 정산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향후 블록체인 기술 및 사업자 협의를 통해 통신사 간 계약된 요율 정보에 대한 접근과 제어가 가능해지면 실시간 과금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T 마케팅전략본부장 김원경 전무는 “이 기술을 국제 협력을 통해 충분히 검증한 뒤 차세대 국제 로밍 정산 체계로 확대될 수 있도록 표준화를 제안할 계획이다”며, “이를 KT의 네트워크 기술과 결합하여 해외 통신사 간 실시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정산 인프라로 개발해 활용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 KT, NB-IoT 기반 ‘우리 아이 위치 알림이’ 출시
- KT와 지멘스, ICT 기반의 미래형 스마트 발전소 구축 협력
- KT, 자율주행 사업 추진 박차
- KT, 전국 1,500곳에 공기질 관측망 구축 완료
- 애스톤얼라이언스, 블록체인 기반 전자문서 공동사업 위한 공식행보 나서
- 플래닝코리아, 블록체인 빌딩 ‘이오스 타워’ 서울에 건립 추진
- KT, 7월부터 태양광 O&M 시장 진출한다
- 에너지 절약하면 암호화폐로 보상하는 에너지토큰 앱 출시
-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협력 위해 ‘비즈니스온커뮤니케이션’과 계약 체결
- [포토] KT, ICT 인프라 활용한 GIGA IoT Air Map 서비스 선보여
- KT, 블록체인·AI 기반 소규모 전력중개사업 진출
- 엑스블록시스템즈-티플러스, 블록체인기반 의료정보교류시스템 구축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