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시장 공략 위한 신제품 50kW급 소형 태양광 인버터 첫 선
[일본 도쿄, 인더스트리뉴스 이상열 기자] 지난 2013~2018년까지 전 세계 태양광 인버터 누적 선적량 90GW를 달성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화웨이가 기존의 ICT 기업 이미지에서 태양광 인버터 전문 기업으로 변신을 위한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지난해 일본 시장에서 900MW 태양광 인버터를 선적해서 톱 3 기업에 진입한 데 이어, 지난해 5월에는 한국 시장에서 60kW급 태양광 인버터 한국시장 내 인증을 완료하고 올해부터 한국시장에서의 태양광 인버터 마켓 셰어 증대를 위해 공격적인 영업을 전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 27~3월 1일까지 일본 동경 빅사이트 전시장에서 개최된 PV EXPO 전시회에서는 일본 시장을 위해 신제품으로 50kW급 소형 태양광 인버터를 개발해서 첫 선을 보였으며, 한국시장을 위해서는 60kW급 태양광 인버터를 전시했다.
이 회사가 개발한 태양광 인버터는 일명 스마트 인버터로 멀티 MPPT(Maximu Power Point Tracker) 회로를 탑재해서 수목이나 건물 등에 영향을 주거나 지형이 불안정하거나 모듈 수광부가 불일치할 경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모듈의 출력치가 일정하지 않은 곳에 설치하더라도 발전 손실을 0.5%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최대 전력 포인트를 추적하기 때문에 타 제품에 비해 1~3%의 전력량 증대를 얻을 수 있다.
화웨이는 ICT 기반의 집적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서 태양광 인버터의 스마트 시대를 열었다고 자부하고 있는데, 이 회사의 글로벌 홍보를 책임지고 있는 제프 얀(Jeff Yan) 홍보이사는 “화웨이의 태양광 인버터는 제품의 구성과 설치를 단순화한 ‘Simplicity’, 유지보수를 위해 현장에 직원을 직접 파견하지 않더라도 원격지에서 20분만에 운영상황을 보고받을 수 있는 화웨이만의 ‘Digitalization’, 제로 메인티넌스를 추구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Automation O&M화를 실현했기 때문에 경제성과 운영의 안전성을 추구했다”고 밝혔다
한편, 화웨이는 최근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한국의 태양광 시장에 주목하면서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올해는 한국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 수립을 완료하고 주요 고객을 대상으로 적극 홍보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 [포토뉴스] LS산전,일본 PV SYSTEM EXPO서 36kV급 전력개폐장치 등 신제품 공개
- [현장취재] 일본에서 선전하는 한국 태양광 기업들 ‘신성이엔지’
- [포토뉴스] OCI파워, 콤팩트한 125kW 스트링 인버터 처음으로 선보여
- [포토뉴스] SolarEdge, 파워 옵티마이저 및 모듈 레벨 원격 모니터링으로 O&M 지원
- [포토뉴스] 신성이엔지, 고효율 태양전지 PERC와 세계 최고 출력 태양광 모듈 PowerXT 선보여
- [포토뉴스] GCL, 단결정+PERC+고밀도의 420W 모듈 선보여
- [포토뉴스] 스코트라, 독자 개발한 수상태양광발전용 멀티룸 부유체로 시선 사로잡아
- [포토뉴스] 아시아에서 떠오르는 해상풍력 발전 시장동향 확인
- [현장취재] 일본에서 선전하는 한국 태양광 기업들 ‘한화큐셀’
- [포토뉴스] AIDUO SOLAR, 335W/375W 단결정 실리콘박막 태양전지 모듈 PV EXPO 출품
- [포토뉴스] 상해 CHICO, 알루미늄재질 태양광 마운팅 장비 선보여
- [포토뉴스] DELTA,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출시
- [포토뉴스] GS YUASA, 고전력 모듈타입 산업용 리튬이온 배터리 출시
- [포토뉴스] Bell Energy, 대용량 축전형 EV 급속 충전기 관심 끌어
- [포토뉴스] 일본 O&M 의무화 시장 겨냥한 다양한 제품과 기술 전시돼
- Power Integrations, 고효율 SCALE-iDriver SiC-MOSFET 게이트 드라이버 출시
- [엑스포솔라] 화웨이, 지능형 태양광발전소 최적화 통해 에너지 디지털화 선도
- 화웨이, ‘2019 SNEC’에서 스마트 PV 6.0 LCOE 솔루션 등 선보여
- 발전소 유지보수의 AI 시대 여는 화웨이 스마트 I-V 진단 3.0
- 99.996% 인버터 가용도는 어떻게 이루어진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