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2019년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 지원 대상으로 강원 삼척, 경남 창원, 서울 강서 3개 지역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중 분산형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의 일환으로서 LPG·CNG 충전소 또는 버스 차고지 등 수소 수요지 인근에서 LNG 추출을 통해 수소를 생산해 수소버스 충전소에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잔여량은 인근 수소충전소에 공급하기 위한 사업이다.
산업부는 총 11개 지역으로부터 신청(3월 14일~4월 12일)을 받아 각 지역의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구축 계획과 수소버스 보급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선정됐다고 밝혔다.
그 결과 수소 수요가 현재 상대적으로 높거나(서울), 향후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창원) 및 인근에 부생수소 생산시설이 없어 운송비용이 높은 지역(삼척)을 우선 선정했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산업부는 3개소를 시작으로 앞으로 2022년까지 총 18개소를 구축해 지역 수소 수요에 맞춤 대응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된 3개 지역의 생산기지는 6월부터 착공해 2019년 9월경 완공 예정으로 생산기지당 하루 약 1,000~1,300kg을 생산해 약 30~40대 버스에 공급할 예정이며, 수소 판매가격은 울산, 대산 등 부생수소 지역 공급가격에 맞춰 결정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생산기지가 완공되면 수소 수요 인근지에서 직접 수소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해져 운송비가 절감되고 최종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하게 수소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정부는 이러한 생산기지를 수소충전소(2022년까지 310기 예정)와 연계해 구축함으로서 수소 수요에 맞게 차질 없이 공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서울시, ‘대기 개선’과 ‘미래 산업 육성’에 추경 예산 투입
- 규제 합리화로 수소경제 확산 이끈다
- 경기도, 수소충전소 16개소 구축해 ‘수소차타기 좋은 경기도’ 만든다
- 수소차·연료전지 확대 등 국민 체감하는 수소경제 활성화 나서
- 국회도 수소차 시대 돌입…8월 말부터 수소충전소 운영
- 앨러카이테크놀로지스, 수소 항공 모빌리티 시대를 연다
- 아스펜테크, 공정산업이 미래와 방향성 제시…적극적인 대응 강조
- 친환경에너지 대중교통 확산…정말 안전한가?
- 산업교육연구소, 그린 수소산업을 위한 사업전망 세미나 개최
- 산업부, ‘400억’ 투자펀드 통해 수소·인공지능·빅데이터 산업 육성 나선다
- 여전히 부족한 신산업 기술인력…범정부 대책 마련 시급
- 산업부 성윤모 장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생산업체 ‘원익IPS’ 방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