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주야 기자] 유니슨(대표 허화도)은 6월 5일 광주시 홀리데이인 광주호텔과 영광군 백수읍 하사리 U136 설치 현장에서 ‘육∙해상 공용 4.2MW-U136 제품공개회’를 개최했다. 제품공개회에는 풍력사업개발사, 발전사, PF금융기관, 공공기관, 풍력관련 산업계, 언론사, 협회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U136 제품공개회에 풍력업계 관계자 120여명이 참석해 큰 호응을 얻었다. 사진은 U136 제품공개회 광주현장 [사진=유니슨]](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6/32576_26204_2433.jpg)
‘유니슨’은 2015년 말부터 3년여간 U136을 개발해 2018년 9월 전남 영광군에 시제품을 설치하고, 10월부터 실증운행을 진행해 왔었다. 지난달 23일에는 풍력터빈 국제인증 기관인 DEWI-OCC로부터 인증을 획득해 상업화 준비를 모두 마친 상태다.
유니슨 관계자는 “제품공개회 기획단계에서 70~80여명 참석을 예상했으나, 풍력업계 관계자 120여명이 참석해 큰 호응을 얻었다. U136의 시장출시는 단순히 유니슨의 자부심을 넘어 대한민국 풍력기술의 진보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유니슨 허화도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유니슨은 재무적 어려움과 대기업 및 글로벌 터빈메이커들이 국내 시장에 진출하는 틈바구니 속에서도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 동안 공급수량 123기(점유율 40%), 공급용량 231.8MW(점유율 32.3%)의 터빈을 공급해 국내의 어려운 풍력산업 환경에서도 굳건히 국산 풍력시장을 지켜왔다”고 말했다.
![U136 제품공개회 영광현장 [사진=유니슨]](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6/32576_26205_251.jpg)
이어, 유니슨 방조혁 연구소장은 제품발표를 통해, “U136은 4MW급 U4 Platform으로 설계돼 첫째, 단순한 구조로 내구성이 좋다. 둘째, 터빈의 모듈화로 운송 및 설치가 편리하다. 셋째, 육·해상의 다양한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며 사업성 확보가 용이하다“고 U136의 특장점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국내 풍황을 고려해서 U136에서 로터직경 15미터를 확장해 U136 대비 에너지 생산량을 약 18% 증가시킨 저풍속용 육·해상 공용 U151(4.3MW) 터빈을 개발해 연말까지 인증 받을 계획이다”고 밝혔다.
- LS산전, 대형 태양광·ESS 연계 93MW급 영암태양광발전 사업 수주
- 오토시맨틱스, 인공지능 적용 풍력발전 모델 개발 성공…국산 인공지능 시대 성큼
- 호프윈드, 최소 2% 이상 태양광 효율 높이는 C&D 인버터 공급
- 한국중부발전, 재생에너지 강국 유럽 풍력시장 진출
- 유니슨 '풍력터빈 U136', 국제 인증 이어 국내 KS인증 획득
- 유니슨, 신규풍력발전단지개발사업서 ‘EPC 주관사’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해상 풍력발전 주변지역 지원에 대한 법률 개정안 국회 통과
- 유니슨, 코오롱글로벌 개발 풍력발전단지에 430억 규모 납품 계약 체결
- 유니슨, 영광 약수해상풍력에 4.3MW 규모 풍력터빈 공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