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산업부 성윤모 장관은 7월 30일, 경기도 평택 소재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업체인 ‘원익IPS’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에 따른 우리 업계의 영향 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한편,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분야에서 앞선 기술로 국산화를 선도하는 업체와 함께 동 분야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뤄졌다.
원익IPS는 반도체 증착 장비를 삼성, SK하이닉스 및 미국 글로벌 파운드리 등 국내외 주요기업에 납품하고 있으며 청년 고용창출 등에서도 우수한 실적을 갖춘 업체이다. 원익IPS는 반도체소자기업과 기술협력을 통해 증착설비 국산화에 성공해 양산 중이며, 국내 장비기업 중 최대 규모의 R&D 연구소를 보유·운영해 지속적인 R&D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성 장관은 간담회에서 “일측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에 대비해 피해가 우려되는 품목에 대한 상황을 철저하게 점검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시나리오별 대응방안을 강구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차원에서 업계와 지자체에 일본 조치의 내용과 영향, 정부 지원방안을 상세하게 전파하는 한편, WTO 등 국제기구에서 동 이슈를 의제화했고 국제사회에 우리 입장에 대한 공감대도 확산시켜 왔다고 강조했다.
성 장관은 “일본이 조치를 취할 경우에 그간 준비해 온 시나리오에 따라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민관의 모든 역량과 자원을 총동원해 철저히 대응해 나가겠다”며, “민·관 모두가 합심해 차분히 대처해 나간다면 현 상황을 충분히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을 전했다. 이어 “오히려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더 성숙하고 단단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단기적으로는 주요 품목의 수급 대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업에 적기에 제공하고, 국내 생산 확대, 조기 국산화 등을 위한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결해 나가는 한편, 근본적으로 우리의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다해 핵심품목의 자립화와 수입처 다변화 등을 통해 우리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성 장관은 이날 방문한 원익IPS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장비 국산화에 기여했음을 평가하고, 제2, 제3의 원익IPS와 같은 경쟁력 있는 기업이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 등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산업부, ‘풍수해 대비’ 여름철 에너지 시설 안전관리 현황 점검
- 산업부, 2019년 하절기 국민 절전캠페인 출범식 개최
- 산업부, 섬유·패션의 메카 동대문에서 제조로봇 설명회 개최
- 산업부, ‘400억’ 투자펀드 통해 수소·인공지능·빅데이터 산업 육성 나선다
- 산업부, 올해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 3개소 선정
- 발전설비 외산 기자재 및 원천기술 국산화 선제적 대응한다
- 김경수 경남도지사, “일본 수출규제, 제조업 체질 개선 기회로 삼겠다”
- 2019년 2분기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분기 대비 2.2% 하락
- 아이엘사이언스, 쿼츠 렌즈 대체 가능한 실리콘렌즈 개발
- 일본 경제 공격에 맞서 100대 전략소재·부품 5년 내 국내 공급 확보한다
- 경기도, 일본 경제 보복에 총력 대응…도-시군 협력체제 구축
- 경기도의회, ‘일본수출규제’에 맞서 추경 예산 326억 ‘만장일치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