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기창 기자] 경기도의회가 일본 정부의 보복성 수출 규제 조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편성한 ‘2019년 제3회 추가경정 일본수출규제 대응사업 예산안’을 본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이번에 도의회를 통과한 ‘2019년 제3회 추가경정 일본수출규제 대응사업 예산안’은 약 326억여원 규모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의 경제 침공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정책 의지가 한층 구체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수출규제 대응사업 예산안’은 연구개발(R&D) 분야 225억 원, 자금지원분야 100억 원, 전략수립분야 1억 원 등으로 편성돼 있다. 경기도는 이번 예산을 활용해 러시아와의 기술협력을 통한 수입시장 다변화 및 첨단기술 국산화 도모, 반도체 중심 국산화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 대‧중소기업 공동 R&D 및 판로지원을 통한 상생협력 도모 등 ‘3대 과제’를 집중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경기도는 3대 과제를 바탕으로 ‘산‧학‧연‧관을 잇는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생태계가 장기적인 대응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3대 과제를 효과적으로 추진한다면, 일본 정부의 보복성 수출조치로 타격을 입은 경기도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더불어 부품 국산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재명 지사도 이날 경기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38회 임시회 4차 본회의에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로 산업계의 타격이 우려되던 지난 8월 초 도의회가 민첩하게 긴급 제안해준 덕에 의회와 집행부가 한마음으로 추경을 진행하게 됐다”며, “2회 추경 이후 50여일 만에 신속하게 이번 추경을 심의 및 의결해줘 감사하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추경예산은 수출규제 여파가 미친 산업계, 특히 중소기업에 든든한 지원이 될 것이다. 관련 예산을 차질 없이 투명하게 집행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한 ‘2019년 제3회 추가경정 예산액’은 총 26조 6,799억원으로 지난 제2회 추경예산보다 1,600여억원이 늘어난 규모다.
- 서울에너지공사, 서울의 에너지 정책과 전시·체험을 한 눈에!
- 디엔이솔라, 차별화된 A/S 정책 통해 외산 인버터 리스크 없애다
- [핫이슈] 각 지자체, ‘지역 밀착형’ 대응책으로 日 수출 규제 ‘돌파구’ 마련
- 한화건설, 1,459억원 규모 동탄-인덕원 복선전철 9공구 수주
- 경기도, 일본 경제 보복에 총력 대응…도-시군 협력체제 구축
- 산업부 성윤모 장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생산업체 ‘원익IPS’ 방문
- LS산전, 한국형 플랫폼 기반으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생태계 구축
- 서희건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 본격 추진
- 서울시, ‘시민이 주도하는 에너지전환 정책 활성화’ 논의
- 경기도, ‘디지털 심장’ 만든다…데이터센터 구축 본격화
- 일본 수출규제조치 100일… ‘제1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 개최
- 일본에게 지배당한 국내 로봇 산업… 국산화 최하는 15%로 심각
- 정부, 2020년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해 전방위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