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들의 건강을 지키고 교통약자 이동권 확대를 위해 친환경 저상버스를 추가 도입할 수 있도록 91억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투입한다고 8월 27일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42%를 저상버스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진=pixabay]](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8/34086_28220_508.jpg)
최근 몇 년간 미세먼지 발생으로 국내 공기질이 현저히 악화되며, 국민 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친환경 시내버스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다양한 대책과 관련해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 같은 사회적 요구에 맞춰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에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저상버스 도입 지원사업을 접목해 추경예산으로 편성했다. 저상버스 도입 지원사업은 저상버스와 일반버스 차량가격의 차액에 대해 국가와 지자체가 50:50(서울은 40:60)을 매칭해 노선버스 운송사업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투입하는 91억원의 추경예산은 200여 대의 친환경 저상버스 구입에 지원할 수 있는 금액으로, 국토부는 올해 본예산으로도 친환경 저상버스 354대(전기319대, 수소35대)분에 대해 예산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현재 시내버스용 전기버스는 모두 저상버스 모델로 출시되고 있다. 국토부는 2018년 말 기준 23.4%(전체 시내버스 34,287대 중 8,016대)였던 저상버스 보급률을 2021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42%를 저상버스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어 친환경 저상버스는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전기·수소버스 등 친환경 저상버스의 확대는 미세먼지 저감에 일조하며 국민들의 건강 보호에 이로울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또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도 높아지게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시, 소규모 사업장 ‘미세먼지 저감 지원’에 총 102억원 투입
- 서울시, ‘친환경 택시 도시’ 위해 3,000대 구입 추가 지원 나서
- 증평군, ‘녹색도시 증평’ 위한 태양광발전시설·도시숲 보급 박차
- 경남도, ‘급출발, 급가속, 급감속 안하기’ 미세먼지 저감 업무협약 체결
- 미세먼지 저감 위해 화물차에 무시동에어컨‧히터 설치한다
- 서울시, ‘친환경콘덴싱보일러’ 보급 확대로 미세먼지 절감 본격화
- 부산시, 공기 질 위해 대기 오염물질 측정 사업장 관리 강화
- 경남도, 14개 사업에 364억원 투입해 미세먼지 잡는다
- 구례군, 미세먼지 저감 위한 주민참여 '명품숲' 조성한다
- 안산시, 보도 운영 가능한 미세먼지 소형 청소차 도입
- 부산시, 2050년까지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연료전지 보급한다
- 현대자동차, 자사 전기버스에 원격 관제 시스템 설치
- 국내 최초 환경 위성 발사 초읽기… 미세먼지 주범 찾아낸다
- 환경부, ‘세종청사’ 포함 전국 주요지역에 12개 수소충전소 추가 구축
- 디피코, 횡성 한우마을 노선버스로 '전기버스'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