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가 2020년 5G 전국망 확산 본격화에 대비한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2월 23일 밝혔다.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통해 통신 장애에 대한 사전 인지 비율이 높아지고, 대응 및 복구 속도도 빨라진다.
이번에 구축된 ‘차세대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은 계획·설계·공사·개통·정산 등의 구축업무를 위한 ‘NTOSS’ 시스템과 장애감시·분석·조치·품질관리·작업 등의 운영을 위한 ‘NMS’로 구성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들이 마곡 사옥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12/36075_31039_269.jpg)
‘NTOSS’는 작업자들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시켜주는 것이 장점이다. 우선 기존 시스템 대비 처리 속도, 화면 복잡도, UI 편의성이 개선됐다. 각 작업자에게 분배되는 업무가 명확해져 작업 누락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됐다. 선로, 장비 등과 같은 ‘기준 정보’ 관리 강화로 운영 관련 데이터의 정확도도 개선됐다. 또한, 유·무선 업무 프로세스 시스템을 통합해 중복 작업 발생과 불명확한 정보로 인한 후공정 업무도 사라진다.
‘NMS’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장애 사전 예측’과 ‘운영자 개입을 최소화 한 작업 자동화’로 장애 제로화를 가능하게 한다.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근본 원인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조치해 복구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준다. LG유플러스는 이를 통해 고객들의 네트워크 이용 편의성이 지속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향후 차세대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머신러닝 기능을 융합해 보다 밀도 있는 기술 진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2020년부터 시작되는 5G망 전국 확산, 28GHz 대역 본격화에 대비한 선제적 장애 인지, 투자 예측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LG유플러스 권준혁 NW부문장(전무)은 “이번에 구축된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유무선 품질관리, 작업자동화 등 당사가 기존에 보유한 강점과 장애근본원인 분석 로직, 고객품질관리 기법과 같은 선진화된 글로벌 운영기술이 모두 녹아 들어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및 품질 고도화로 ‘네트워크 장애 제로화’에 주력하고, 나아가 이번 운영 시스템이 당사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지탱하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 LG유플러스, 업계 최초로 매장 5G 임대폰 대여 서비스 실시
- LG유플러스,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마련 위해 국토지리정보원과 MOU
- 구글과 손잡은 LG유플러스, VR 크리에이터 육성한다
- LG유플러스, ICT 기술로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에 앞장
- LG유플러스, 펭수와 만나다… AR 컨텐츠 선보여
- LG유플러스, ‘고객 불편 최소화’ 4개 케이블사와 동등결합 상품 출시
- LG유플러스, ‘4년간 천 원의 사랑’ 급여 모아 1억원 기부
- 온로봇 엔리코 크로그 이베르센 CEO, "전 세계 로봇 사와 통합할 것"
- [iRex 2019] 일본, 협동 로봇에 주목 시작… 일본 내 사회적 문제 해결 방안으로 지목돼
- LG유플러스, 새해 맞아 ‘U+제로 로밍’ 이벤트 진행
- LG유플러스, 구글과 함께 ‘실감형 컨텐츠’ 선도 나선다
- LG유플러스, 미디어 체험 놀이공간 ‘U+아이들나라’로 온 가족 휴식공간 제공
- LG유플러스, 5G 기지국 운영 국제표준 ‘정보보호’ 인증 획득
- LG유플러스, 다수 사업장 관리 위한 ‘U+지능형 CCTV 단체형’ 출시
- ‘골프 보고 선물 받자!’ LG유플러스, ‘골프 연구소’ 시청 이벤트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