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현대로템이 수소 인프라 사업 진출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나선다.
현대로템은 10일 현대자동차그룹이 추진하는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전략에 맞춰 수소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고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수소충전 설비공급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또 수소전기열차가 안정적으로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해 주력사업인 철도사업부문과도 시너지를 낸다는 전략이다.
현대로템이 새로운 동력원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수소충전 설비공급 사업은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장치인 수소리포머의 원천기술을 확보해 수소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설계, 구매, 시공에 이르는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현대로템은 수소 충전인프라 관련 사업으로 지난달 29일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수소 융복합충전소 시범사업’에 사용될 수소리포머 1대의 계약 체결에 이어 이달 강원테크노파크에서 발주한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에 사용될 수소리포머 2대를 수주하는 등 신규사업에 대한 첫 성과를 거뒀다.
이번에 현대로템이 수주한 수소리포머는 2021년까지 충청북도 충주와 강원도 삼척에 각각 설치된다. 생산된 수소는 수소버스 등의 충전뿐만 아니라 지역 내 수소 활용처에 수소를 공급하는 역할에 활용된다.
현대로템은 수소충전 설비공급 사업을 위해 지난해 수소에너지개발팀을 신설해 수소인프라구축 관련 기술 도입 및 기술 개발을 추진해왔다. 특히 현대로템은 수소리포머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월 현대자동차와 서브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해외선진기업의 기술을 이전 받아 2월부터 수소리포머 제품 제작에 돌입했다.
현대로템이 현재 기술이전 중인 수소리포머 기술은 천연가스에서 하루 640kg의 수소(640kg/day)를 추출할 수 있다. 현대로템은 수소리포머 기술이전이 완료되면 국산화를 통해 외산 수소리포머 대비 15% 이상 비용을 절감시키고 2025년까지 다양한 용량의 리포머 기술을 단계별로 확보해 제품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현대로템은 올해 상반기까지 수소충전소 표준화 모델을 확립하고 이후 차량용 수소 충전장치인 디스펜서를 개발해 수소차량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기술을 추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대내외 경영환경 변화 속에서 미래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사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라며 “수소충전소, 수소전기트램과 같이 현대자동차와 협업을 통한 신사업 진출로 경쟁력 있는 기술과 제품을 확보해 사업 다각화를 이루고 미래 신사업의 장기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 포스트 코로나, 정답은 '환경'… ‘세계 탄소제로‧미세먼지 엑스포’ 9월 2일 개최
- 가스공사, 경유트럭 연료를 청정 LNG로… 미세먼지 감축에 일조
- 남동발전, ‘세계 환경의 날’ 맞아 ‘3-Green 캠페인’ 펼쳐
- 당근마켓, ‘환경의 날’ 맞아 환경보호 이벤트 진행… “온실가스 줄여요!”
- 케이웨더-서초구, ‘클린 서초’ 프로젝트… 청정위생 공간 관리기준 만든다
- 서울시, 시민 랜선 참여로 2,500그루 나무 심게 돼
- 인천공항-산림청·푸른아시아, 몽골에 저탄소 마을 구현한다
- 기후변화센터, EU 탄소국경조정 관련 이해관계자 1차 간담회 개최
- 환경실천연합회, ‘리틀 포레스트 서포터즈’ 모집
- 현대차, 언택트 레이스 ‘2020 롱기스트 런’ 시작
- 강남구, 청담역 미세먼지프리존… 시민공간으로 업그레이드
- 에기연, 수소 기반의 주거 모델 실증 연구 및 개발 착수
- 부산시, 2030년까지 수소전기 시내버스 500대 운행키로
- 현대로템, 약 4,000억 규모 차륜형장갑차 3차 양산 사업 수주
- 철도·풍력 등 특수 환경용 커넥터 선도기업 일메, 한국시장 본격 등판
- 현대로템, 대테러작전용 다족보행로봇 개발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