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새만금개발청(청장 양충모)이 2021년 예산을 2,962억원으로 확정지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를 통해 한층 속도감 있는 새만금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고 12월 3일 밝혔다.
2021년 예산은 동서도로 준공 등 예산 감소요인에도 불구하고, 국회심의 과정에서 여러 신규 사업이 추가됨에 따라 2020년 예산(2,795억원)보다 167억원 인상된 예산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새만금개발청은 2021년 개청 이후 가장 많은 신규 사업을 확보(8건)했다.
내년 예산에서는 △기반시설의 적기 구축 △기업유치 활성화를 위한 기업투자환경 조성 △녹지 확보 등 생활환경 개선 △품격 있는 도시 조성을 위한 문화예술 활성화 등에 중점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계속사업으로는 신속한 새만금사업 추진 및 2023년 8월 열리는 세계잼버리대회의 성공적인 개최 지원을 위해 남북도로 건설(2,330억원), 상수도시설 건설(43억원), 새만금 간척사 박물관 건립(100억원) 등을 지속해서 추진한다.
특히, 국회에서 증액된 장기임대용지 조성 예산(총 168억원)은 코로나 극복 기대감 등 투자여건 개선상황과 맞물려 새만금에 유망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신규사업으로는 새만금에 기업유치 촉진 및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들을 다수 확보했다. 기업성장센터 건립(3억원)은 스타트업 등에 생산 및 업무공간을 제공해 매력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국민참여예산인 에코숲벨트 조성(38억원)과 동서도로에 녹지를 조성하는 가로숲길 조성(5억원)은 생활 및 녹지환경 개선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회단계에서 새롭게 반영된 한류뮤직&아츠페스티벌(5억원)과 정부안에 이미 반영된 간척사 박물관 소장품 확보(11억원)는 새만금의 문화예술 인프라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여러 기관이 추진하는 다양한 새만금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종합사업관리시스템 구축(20억원), 효율적인 도시개발을 위해 새만금을 3D로 구성하는 공간정보시스템 2단계 구축(4억원) 등이 새롭게 반영됐다.
새만금개발청 양충모 청장은 “기반시설 구축과 기업투자환경 조성을 통해 사람과 기업이 모이는 새만금이 될 수 있도록 막바지까지 예산 확보에 노력했다”며, “확보된 예산을 통해 새만금 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인 집행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 새만금, 세계 최고 수준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도약 나선다
- 새만금개발청, 친환경 제철·제강 제조기업 대진엔지니어링과 MOU 체결
- ‘신재생에너지의 중심’ 새만금, 전문가 토론회로 전략 논의
- 새만금에 에너지 융복합 통합지원 체계 구축된다
- 새만금, 재생에너지 국가기관 등 집적화 가속
- 새만금개발청, 정부 및 투자자 통한 성공적인 사업 진행 모색
- 새만금개발청,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 양성 본격 추진
- 새만금, 국내 대기업 최초 2조원 투자 본격화…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 SK E&S, 민간 최대규모 수상태양광 200MW 발전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새만금개발청, 태양광 발전단지 관광자원화 추진
- 자율주행차용 LiDAR 강소기업 새만금에 둥지 튼다
- 새만금개발청, 한국수자원공사와 사업활성화 위해 머리 맞대
- 중소벤처기업부, 2021년 예산 확정…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에 4,002억원 편성
- 산업부, 내년도 예산 11조1,860억원 확정… ‘그린뉴딜’ 투자 본격화
- 새만금개발청-와이에이치에너지, 재생에너지 제조공장 건립 투자협약 체결
- 새만금개발청,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조성에 속도 낸다
- 새만금개발청, 제강 설비 제조기업 ‘대진엔지니어링’과 입주계약 체결
- 군산시, 서울대 환경대학원과 수상태양광 사회 수용성 연구 공동 추진
- 새만금, 그린뉴딜 신호탄… ‘스마트 그린산단’ 착공 및 비전 선포
-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완주 사용차 수소충전소 시찰
- 새만금,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박차… 올해 첫 입주계약 체결
- 활기 띄는 새만금, 산단 내 공장 가동 본격화
- 중국 기업의 새만금 투자 본격화되나… 중국건설은행 한국법인과 MOU
- 새만금개발청, 새만금 관광레저용지 개발 사업시행자 공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