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전기차 이용자들이 충전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인 티맵 모빌리티, 카카오 모빌리티와 7월 29일 ‘전기차 충전시설 스마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비대면 방식으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한국자동차환경협회는 저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관리되는 공공데이터를 안전하게 민간과 공유한다. 티맵 모빌리티, 카카오 모빌리티는 공유된 정보와 자체 운영 중인 서비스플랫폼(내비게이션, 모바일 앱 등)을 결합해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충전시설 사용 편의성을 높인다.
8월 말부터 티맵, 카카오티에서 ‘충전소 고장제보 및 상태표출’을 시작으로 연내 ‘충전기 최적경로 탐색 및 예약 서비스’, ‘사용이력 실시간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양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 충전시설 입지정보를 제공하고, 이용패턴 분석을 통한 충전기 고장예측 등 충전시설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결제방식도 현재 신용카드, 회원카드를 통한 결제방식에서 내년 초부터 큐아르(QR)페이, 플러그앤차지(Plug & Charge, PnC) 등으로 다양화하고 주차장·충전소 요금 통합 결제 등 똑똑한 결제서비스도 확대해 나간다. 플러그앤차지는 충전기를 연결하면 차량에 저장된 결제정보를 이용해 바로 충전되는 방식이다.
환경부는 서비스 발전에 필요한 공유데이터 확대를 위해 충전사업자들과의 공동이용(로밍) 영역을 확대하고, 저공해차 통합누리집도 고도화해 충전정보를 통합관리할 예정이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이번 협약으로 민간업체의 서비스 플랫폼과 정보(IT)기술력이 공공충전서비스와 결합해 충전시설 운영체계의 많은 부분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핸드폰으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기차 충전시설 기능을 사용한다면 전기차 보급 확대에도 시너지효과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전기차 사용자들의 혜택을 높이기 위해 8월 2일부터 환경부 회원카드를 통해 포인트를 지급한다. ‘차상위계층·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0만 포인트를 연말까지 지급하고, 충전기 최초 고장 신고에 대해 1,000포인트를 지급한다. 고장신고 포인트제의 경우 3개월 시범운영 후 결과를 평가해 지속 운영 여부 및 형태를 결정할 계획이다.
- 정부, 내년 환경예산 탄소중립·국민 생활환경 개선에 집중투자한다
- 환경부‧삼성전자 무공해차 전환 위해 나선다
- 환경부, 전기차 폐배터리에 숨 불어 넣는다
- 탄소중립 학교가 앞장선다
- 중기부-환경부, 녹색혁신 선도할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31개 기업 선정
- 정부, 2025년까지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133만대 보급한다
- 디앤에이모터스, 친환경 모빌리티 브랜드로 새로운 도약 “건강한 이륜차 문화 조성”
- 환경부‧한국환경공단, 공공부문 건물부터 탄소 중립 속도 낸다
- 폐교 제로에너지건축물로 새 단장해 환경교육 거점시설로 거듭난다
- 친환경차 100만대 돌파…전기차 올해 22만대 돌파 전망
-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 전기차 폐배터리에 숨 불어넣는다
- “탄소중립, 국립공원과 실천해요”
- [In터뷰]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정종선 회장, “무공해차 보급 확대 지원으로 탄소중립 여정 함께할 것”
-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행복브릿지와 ‘물류 및 소비부문 탄소저감’ 위해 MOU
-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충전시설관리사’ 174명 배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