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가 비수도권 14개 시·도와 함께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이끌 ‘지역혁신 선도기업’ 54개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역혁신 선도기업 100’은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 촉진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혁신 역량과 성장가능성을 보유한 유망기업을 발굴해 지역의 주력산업 생태계와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앵커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중기부와 14개 시·도가 함께 추진하는 ’지역혁신 선도기업 100‘ 프로젝트는 2022년말까지 100개사 발굴을 목표로, 이번에 54개사를 우선 선정하고 이어 하반기에 46개사를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지역주력산업을 견인할 역량을 갖춘 지역스타기업 등을 대상으로 지난 11월부터 약 3개월 동안 지역 특성을 가장 잘 이해하는 지자체 주도로 전문가 서면․현장 평가를 시행하고, 중기부 검증과 지역민의 의견을 청취해 총 54개사가 최종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54개사는 평균 매출액 173억원, 매출액 대비 기술개발(R&D) 투자 비율 5.6%, 고용증가율 6.2%로,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의 검토를 종합할 때 성장가능성과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업종별로 기계‧소재 29%(16개사), 바이오‧의료 24%(13개사), 정보통신 17%(9개사) 등이며, 바이오헬스, 첨단항공, 미래에너지, 그린모빌리티 등 48개 지역주력산업 중 34개의 주력산업(70.8%)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를 이끄는 54개 선도기업 외에도 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 160개사, 대학 26개, 연구소 18개 등 총 205개 산․학․연이 함께 참여해 지역의 주력산업 생태계를 공동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혁신 선도기업으로 선정된 래디안(화장품 제조, 강원 소재) 이성은 대표는 “당사가 보유한 원천기술을 활용해 지역 혁신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강원도의 주력인 천연물바이오소재산업 고도화를 주도하고, 지역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중기부와 비수도권 14개 시․도는 향후 6년간 맞춤형으로 밀착 지원해 지역경제를 이끄는 대표기업이 될 수 있도록 육성할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에게는 기술개발 자금으로 최대 6년(3+3년) 20억원을 지원하며, 판로·인력·자금·투자 등 메뉴판식 지역자율 프로그램을 제공해 개별 협업과제에 따라 맞춤형으로 집중 지원한다.
우선, 올해 1차년도에는 기업별 전담 피엠(PM)을 매칭해 협업전략서 수립, 기술개발(R&D) 과제기획 등에 5천만원을 지원하고, 정책자금 한도 확대, 보증료율 감면 등 기업 성장에 필요한 초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어,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기술개발(R&D) 지원 뿐만 아니라, 선도기업 성장에 적합한 지역투자보조금 우대, 시험장비 지원 등 비수도권 14개 시․도별 자율 프로그램을 마련해 제공할 예정이다.
중기부 김성섭 지역기업정책관은 “비수도권 14개 시․도가 주도적으로 선정한 지역혁신 선도기업은 기업과 혁신기관간의 협력을 통해 지역 경제를 이끄는 지역 혁신과 성장의 롤 모델이 될 것”이라며, “중기부는 선도기업 육성을 가속화하고 지역주력산업의 생태계 조성 성과를 조기에 창출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력해 다각적인 지원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기부는 지역혁신 선도기업 100이 모두 선정되면 정부와 지자체, 지역혁신 선도기업들이 함께 모여 지역주력산업의 육성 포부를 밝히고 지역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장도 마련할 계획이다.
- 중기부, 지방 벤처 키운다… 지방전용펀드 4,700억 이상 조성
- 정부, 2023년까지 자율주행로봇 보도통행 허용 추진한다
- 중기부, 제조공정 로봇 도입 기업에 최대 3억원 지원
- 중기부, 2022년 ‘K-스마트 등대공장’ 업종별 15개사 선정… 최대 12억원 지원
- 중기부, 협업기업간 스마트공장 테이터 등 협력망 상호 연결 지원… 연계기업 참여도 허용
- 중기부, ‘우크라이나 사태 중소기업 피해 접수센터’ 운영
- 과기정통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스마트제조 등 핵심산업 클라우드 육성 나선다
- 중기부, ‘2022년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 공모
- 중기부 권칠승 장관, “제조공정 디지털전환 위해, 로봇 활용 스마트공장 지원 확대”
- 중기부, 2022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 도입기업 모집
- 중기부, 딥테크 스타트업 지원으로 혁신창업생태계 구축
- 중기부, 5,000억원 규모 ‘탄소가치평가보증’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