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도입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주관기관(대기업, 공공기관 등)’은 지난 1월부터 이미 모집하고 있었으며(6월말까지 수시모집), 1차로 삼성(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LG전자,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DN, 한전KPS, 부산항만공사 등 6개 기관의 참여가 확정됐다.
‘도입기업’ 모집은 주관기관별 계획에 따라 각각 진행되며, 삼성과 LG전자가 4월 11일부터 모집을 시작하고, 한국수력원자력‧한전KDN‧한전KPS‧부산항만공사 등 나머지 4개 기관도 순차적으로 모집한다.
해당 사업의 지원방식은 정부와 주관기관의 지원 비율에 따라 크게 △유형1(기초, 고도화1, 고도화2)과 △유형2(소기업전용)로 나눠진다.
유형1은 정부지원금 비율이 최대 30%, 민간부담금(주관기관+도입기업)의 비율은 최소 70%이며, 정부지원금은 고도화 단계에 따라 기초 4,200만원, 고도화1 1억2,000만원, 고도화2 2억4,000만원을 상한액으로 지원한다.
민간부담금은 구체적으로 대기업 등 주관기관이 30% 이상 부담하고 도입기업은 최대 40%만 부담하게 돼, 도입기업은 비교적 적은 부담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다.
유형2는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자 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기초단계의 최대 2,000만원의 소액지원 사업이다.
정부와 주관기관이 각각 50%씩 각각 최대 1,000만원 부담해 도입기업은 별도의 구축비 부담 없이 간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다.
2021년에는 삼성, 현대자동차그룹, LS일렉트릭, 포스코 등 대기업 9개사와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서부발전 등 23개의 공공기관이 참여해 총 270억원 출연금으로 약 1,000개사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그 결과 제조현장의 생산성과 품질은 개선되고 반대로 원가는 절감되는 등 중소기업의 제조경쟁력이 향상됐으며, 덩달아 고용과 매출이 증가하고 산업재해는 줄어드는 성과도 거뒀다.
아울러 주관기관은 오는 6월까지 지속 모집할 예정이며, 이후 추가된 주관기관들의 지원을 받을 도입기업도 계속 모집해서 올해에는 총 1,000개사 이상의 중소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 중기부 권칠승 장관, “제조공정 디지털전환 위해, 로봇 활용 스마트공장 지원 확대”
- 중기부, ‘2022년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 공모
- 중기부, ‘우크라이나 사태 중소기업 피해 접수센터’ 운영
- 중기부, 지역경제 혁신성장 이끌 ‘지역혁신 선도기업’ 54개사 선정
- 중기부, 지방 벤처 키운다… 지방전용펀드 4,700억 이상 조성
- NIPA, 제조‧유통‧조선‧에너지 등 분야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 지원
- ‘디자인 NO.1’ 삼성전자, ‘iF 디자인 어워드 2022’서 최다 수상 영예
- 중기부, 딥테크 스타트업 지원으로 혁신창업생태계 구축
- 크린셀, 전원공급 없이 미세전류 흐르는 스마트잉크 개발
- 젝스컴퍼니, 산업용PC 촘촘한 라인업으로 72시간 내 빠른 납기 보장
- 중기부, 5,000억원 규모 ‘탄소가치평가보증’ 공급
- 중기부, ‘스마트공방’ 1,000개사 선정… 수작업 공정에 자동화기기 도입 지원
- ‘기술창업’ 증가세 지속, 온라인‧비대면화로 정보통신업 등 창업 증가
- LS일렉트릭, ‘테크스퀘어’ 리뉴얼 진행중… 스마트공장의 모든 것 담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