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내년 10월 19일부터는 태양광뿐 아니라 수력·풍력·바이오 소규모 발전사업자도 전기안전 관리자를 직접 고용하지 않고 전문업체에 안전 관리를 맡길 수 있게 된다.
산업부는 이 같은 전기 안전 관리체계 개선 방안이 담긴 전기안전관리법 일부 개정안이 10월 11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8일 공포됐다고 밝혔다.
![전기안전관리법 개정안 주요내용 [포스터=산업부]](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10/47464_49855_4733.png)
산업부는 그동안 전기설비의 공사·운용 등 전기 안전관리 업무 대행을 맡길 수 있는 발전설비의 범위를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1,000㎾ 미만)와 연료전지 발전설비(용량 300㎾ 미만)로 한정해 왔다. 이에 수력·풍력·바이오 등 기타 신재생에너지 설비 사업자들은 전기 안전 관리자를 직접 고용해야 해 인건비 부담이 가중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산업부는 태양광과 연료전지뿐 아니라 용량 300㎾ 미만 수력·풍력·바이오 발전사업자도 전문업체에 전기 안전 관리 업무를 맡길 수 있도록 허용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개정안은 1년 뒤인 내년 10월 19일부터 시행된다.
개정안에는 일반용 전기설비(용량 75㎾ 미만)에 대한 사용 전 점검 수행기관을 한국전기안전공사로 일원화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그동안 일반용 전기설비의 정기 점검은 전기안전공사에서 수행해 왔지만 사용 전 점검은 한국전력공사와 전기안전공사 2개 기관이 함께 수행해 왔다. 때문에 인력·점검 장비 투자가 중복되거나 전기설비 안전점검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산업부는 사용 전 점검 수행기관을 일원화 해 전기 안전점검 업무의 실효성과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시행은 내년 4월 19일부터다.
- 정부, 공공기관 에너지사용 제한 10월 18일부터 시행
- 정부, BIPV 활성화 위해 팔 걷어붙였다… ‘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발표
- 산업부, 저소득층 에너지바우처 지원단가 가구당 평균 1.3만원 추가 인상
- 지난 9월, 대한민국의 해외 무역 성적표는?…정부 “수출에 총력 기울일 것”
- 산업부, ‘제17회 전자·IT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산업부, 초기 중견기업 집중 지원 통해 기업 성장 돕는다
- 산업부, 기업 해외시장 진출 위한 통산지원 설명회 개최
- 충북혁신도시에 에너지융복합특화 산학융합지구 개소
- 30대 에너지 다소비 기업, 향후 5년간 자발적 에너지 효율혁신 나선다
- 산업부, 전기안전관리업무 제도개선 위한 실태조사 실시
- 한‧사우디, 스마트시티‧수소‧화학‧농업‧제약 등 총 26개 계약‧MOU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