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선소프트웨어, 한빛디엔에스, 네오에너지커넥터가 그동안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발생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태양광 시장의 패러다임을 제안한다.

우선 선소프트웨어는 기획 단계에서 국내 최초의 태양광발전 설계 소프트웨어(SW)를 이용해 사업성을 검토한다. 제품별, 설치방법별 여러 번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효율과 경제성을 찾아낸다.
사업이 불투명한 단계에서 전문 엔지니어링 기업에게 사업을 의뢰하는 것은 사업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선소프트웨어는 이를 SW로 해결한다. 빠르고 정확하게 사업성을 분석하고, 계약시 분석한 자료를 전문 엔니지어링 회사인 한빛디엔에스를 통해 피드백을 받는다.
한빛디엔에스는 국내 최초로 제주 마라도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계하고 감리한 국내외 태양광발전 설계 감리의 선구기업이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계약 단계에서 각 지역의 특수한 기후와 지형을 고려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미국, 하와이, 피지, 칠레,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모잠비크, 튀니지, 이집트, 스리랑카 등 해외의 다양한 지역에서 타당성 조사, 설계, 감리, 공사를 진행한 노하우를 태양광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에게 공유함으로써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가교역할을 담당한다.

준공 단계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원구원 연구소 기업 NET 기술을 확보한 네오에너지커넥터가 있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 측정 장비(PM-10/70, PQA-8000)를 통해 발전소의 성능진단을 검사함으로써 부실공사 하자처리 및 발전효율 향상에 도움을 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태양광 발전설비 건설 성능인수시험이 법제화되지 않아 준공 후 문제 발생시 책임 소재에 대한 이슈가 있다. 성능진단을 통한 기자재의 불량, 설계오류, 시공 미준수, 환경상황 등을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해 이러한 이슈를 해결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기준값이 필요하다. 설치지역, 설치방법 등을 고려한 예상 발전량과 현재의 모니터링 값을 비교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진단한다. 파악된 문제점에 따라 솔루션이 달라져야 한다.
20년 이상 운영되는 태양광 발전설비는 설계에서 시작된다. 올바른 설계를 통해 시공하면,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설계 오류로 인한 유지보수비가 발생할 경우, 상상 이상의 막대한 비용이 발생한다.
선소프트웨어 이지선 대표는 “부족한 전문인력은 SW로 충당해 한빛디엔에스의 피드백을 받아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철저한 감리를 통해 태양광발전의 모범 사례를 제시할 것”이라며, “준공 후에는 네오에너지커넥터 성능진단을 통해 태양광 발전시설 관리‧운영에 새로운 체계를 경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태양광산업의 선구자이자 태양광사업의 보조자로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사업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선소프트웨어, 한빛디엔에스, 네오에너지커넥터는 오는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24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자가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태양광사업 방식을 선보일 예정이다.
- 브이피피랩, 실시간 시장 위한 전력 거래 입찰 솔루션 ‘FLOW-V’
- 리셋컴퍼니, 90% 이상 재활용 가능한 ‘태양광 패널 자원순환솔루션’
- 두은커넥트, 인버터 적용성 높인 ‘PV DC 퀵커넥터’와 ‘판넬형 인라인 퓨즈커넥터’
- 대연씨앤아이, 다수 인버터와 동시 호환 가능한 ‘KPX RTU’ 및 UL인증 태양광 접속함
- 다이오드전자, DC 퓨즈 제품군 등 친환경 설비 주요 부품 공급
- 고려기연, 고효율 및 안정적 공정 제공하는 ‘태양광 산업용 진공 증착기’
- 건기, 지붕 단열성 개선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 재생에너지의 미래 만난다… ‘2024 세계 태양에너지‧배터리&충전인프라 엑스포’ 6월 25일 개막
- 아진솔라텍, 지붕형 및 지상형 태양광발전소 위한 국산 알루미늄 구조물
- 에너닷, ‘O&M부터 VPP까지’ 에너지 자산관리 IoT‧소프트웨어 솔루션
- 영인에이티, R&D부터 완성 셀까지 ‘생산 공정별 배터리 테스트 솔루션’ 선봬
- 유앤에스에너지, MCLB 적용 안전한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 ‘SCLB 시리즈’ 선보여
- 에스지에너지, ‘컬러부터 패턴, 미디어파사드까지’ 대한민국 1위 BIPV기업
- 에이비엠, 통합적인 설계‧시공‧유지관리 가능한 ‘건물일체형태양광시스템’
- 자인에너지, 자체 개발 ‘다기능성 음이온수용체(AR)’ 통해 고성능 배터리 구현
- 티에이인스트루먼트, 배터리 소재·셀 분석 솔루션 선봬
- 에이치티 이앤에스, RE100 대응 최적 솔루션 ‘경량형 태양광시스템’
- 우영에너지홀딩스, 플러그인 타입 일체형 솔루션 ‘독립형 태양광발전 에너지 충전장치’
- 이엘티, 마이크로그리드용 PV‧PCS‧ESS 통합형 발전소 ‘PFSE-Model 2’
- 인지이솔루션, 다양한 분야 적용 리튬팩 개발… 고안전·고효율 솔루션 공개
- 일강E&I, 풀스크린 태양광 양면형 모듈과 BIPV 모듈 공식 출시
- 정원이앤씨, 그래핀 표면 전하의 물리적 흡·탈착 에너지 충·방전 ESS
- 칼선, 최신화된 장비와 자동화 설비로 탄생한 고품질 BIPV
- 태크녹스, 태양광 모니터링 시스템과 배터리 전용 열전도율 측정기
- 퍼스트실리콘, 태양광발전소 발전효율 개선과 안전성 향상 지원 ‘SolpoMax’
- 허베이 페이퀴다, 품질·가격경쟁력 갖춘 앵커·볼트 등 태양광 액세서리
- 과성금속, 태양광 랙 시스템 선도기업… 지붕형 태양광과 접지 솔루션 공급
- 제트와이에너지, 800MW 이상의 글로벌 태양광 구조물 실적…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공급
- 에스피브이, 다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로 최적의 태양광발전소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