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권남주)는 오는 4월 7일 부터 9일까지 3일간 온비드를 통해 1382억원 규모의 압류재산 828건을 공매한다고 4일 밝혔다.
압류재산 공매는 세무서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세액 징수를 위해 압류한 재산을 캠코를 통해 매각하는 행정절차다.
공매는 토지, 주택 등 부동산과 자동차, 귀금속, 유가증권 등 압류 가능한 모든 물품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회차별 공매 물건은 온비드 홈페이지 내 ‘부동산 또는 동산 > 공고 > 캠코 압류재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공매에는 부동산 774건, 동산 54건이 매각되며 그 중 임야 등 토지가 477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또 아파트, 주택 등 주거용 건물도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소재 물건 86건을 포함해 총 156건이 공매되고 특허권, 출자증권 등 동산도 매각된다. 특히 전체 물건 중 감정가의 70% 이하인 물건도 548건이나 포함돼 있어 실수요자들은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공매 입찰시에는 권리분석에 유의해야 하고, 임차인에 대한 명도책임은 매수자에게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밖에도 세금납부, 송달불능 등의 사유로 입찰 전에 해당 물건 공매가 취소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입찰 전 공부 열람, 현장 조사 등을 통해 입찰을 희망하는 물건에 대해 상세히 확인하고 입찰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캠코의 압류재산 공매는 온비드 또는 스마트온비드 앱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입찰 가능하며 공매 진행 현황, 입찰 결과 등 전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된다. 또 각 차수별 1주 간격으로 입찰이 진행되고, 유찰될 경우 공매예정가격이 10% 차감된다.
- 캠코, 1740억원 규모 압류재산 695건 공매
- 캠코, 7개 보험사와 주담대 연체차주 지원 위해 맞손
- 캠코, ‘제3기 청년 온라인 서포터즈(캠코터즈) 발대식’ 개최
- 캠코, 국민의 목소리로 공공서비스 품질 높인다
- 캠코, 618억원 규모 압류재산 256건 공매
- 캠코, 1200억원 규모 압류재산 438건 공매
- 캠코, 13일부터 국유부동산 200건 공개 대부 및 매각
- 캠코, 유휴 국유재산 활용해 '나라On 돌봄 쉼터' 5호점 개장
- 캠코, 1520억원 규모 압류 재산 853건 공매
- 캠코, 2025년 사회공헌 추진계획 발표
- 캠코, 2024년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우수 기관’ 선정
- 캠코, 유휴 국유재산 활용 '나라On 상생 일터' 6호점 개관
- 어르신 국유재산 활용 지원을 위한 '캠코 국유 시니어 서포터즈' 출범
- 캠코, 5621억원 규모 압류재산 1648건 공매
- 자영업자 폐업에 채무조정 급증…새출발기금 신청 12만 돌파
- 캠코, 6239억원 규모 압류재산 1672건 공매
